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515 vote 0 2016.11.22 (17:56:53)

     

    의사결정비용


    질량보존의 법칙과 엔트로피 법칙은 얼핏 모순되어 보인다. 양질전환을 해도 에너지 총량은 불변한다는 것이 1법칙인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다. 그런데 계 안에서 양질전환은 불가능하다는게 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이다. 


    비용문제 때문이다. 양질전환은 가능하지만 닫힌계 안에서는 불가능하다. 의사결정비용이 책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원권을 1천원권으로 교환이 가능하다는게 1법칙이면, 교환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게 2법칙이다. 


    질에서 량으로 갈때는 수수료 문제가 없다. 1만원권 1장을 1천원권 열장으로 바꾼다면 그 10장의 1천원권 중에서 한 장을 빼주면 된다. 그러나 1천원권 열장을 1만원권으로 바꿀 때는 수수료 지불이 불가능하다. 


    잔돈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엔트로피다. 의사결정은 반드시 비용을 청구한다. 게임은 두 가지가 있다. 세력전략을 쓰는 주최측의 게임과 생존전략을 쓰는 선수측의 게임이다. 주최측은 최선을 포기하고 차선을 얻는 방법으로 이익을 발생시킨다. 


    선수측은 최악을 회피하고 차악을 얻는 방법으로 이익을 발생시킨다. 둘 다 이득을 얻지만 주최측의 이득이 크다. 선수측은 단지 손실을 줄였을 뿐 실익이 없다. 주최측과 선수측 사이에 발생하는 이익의 격차만큼 에너지 낙차가 발생한다. 


    게임은 에너지 낙차를 따라간다. 곧 에너지는 결따라가는 것이다. 도자기를 좁쌀로 바꾸는 사람은 문제가 없다. 좁쌀 한 줌을 수수료로 떼주면 된다. 좁쌀을 도자기로 바꾸는 사람은 곤란하다. 도자기를 한 줌 떼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들은 외상거래를 한다든가 등으로 이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갖고 있지만 톱니바퀴처럼 꽉 끼어 돌아가는 자연은 단순무식하므로 이것이 큰 문제가 된다. 자연은 융통성이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306
4126 플라톤의 신 image 1 김동렬 2018-02-12 11574
4125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1-26 11568
4124 실존의 죽음과 그 건너편 김동렬 2006-08-08 11561
4123 구조론의 착상 김동렬 2007-10-31 11559
4122 [단상] 조지오웰의 세계 김동렬 2006-11-23 11554
4121 집합이 깨져서 원자가 된다 image 김동렬 2017-12-15 11553
4120 2라운드 곧 시작합니다. 관객은 입장하세요. 김동렬 2002-10-02 11549
4119 성장이냐 복지냐? image 11 김동렬 2012-06-19 11548
4118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9-27 11547
4117 일단 언어가 되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3-05 11545
4116 방향을 판단하라 image 김동렬 2018-02-04 11544
4115 인문학의 힘 image 15 김동렬 2013-03-22 11542
4114 일본식 예쁜축구 잡는 법 image 2 김동렬 2012-03-06 11542
4113 구조론과 진화 김동렬 2006-06-16 11536
4112 신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8-02-09 11535
411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18-04-20 11533
4110 혜강에서 소동파까지[업데됨] 7 김동렬 2010-09-16 11532
4109 범선은 맞바람을 이긴다 image 김동렬 2018-04-02 11530
4108 창의성과 획일성 image 1 김동렬 2013-08-30 11527
4107 사건은 일어났다. image 김동렬 2018-03-21 1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