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15 vote 0 2016.10.30 (04:56:23)


자연은 대칭으로 통제하고 비대칭으로 실행한다.

대칭은 존재의 작용 측, 비대칭은 수용측이다. 인간사회에서의 일을 통제한다는 것은

자연과 같은 대칭상태를 조직한다는 것이다. 대칭이야말로 존재의 엮임이자 사건의 조건이다.

우리는 비대칭의 세계, 일방작용의 세계, 권력의 세계에 환호한다. 그 권력의 세계에서 더 높은 포지션에 가기 위해

매진한다. 그러나 포지션을 가능하게 하는 만남의 세계, 엮임의 세계, 최초의 권력 혹은 권력의 생성에 무지한다.

그래서 일에 치이고, 권력에 치인다.

자연이 대칭으로 일하기 때문에, 인간이 일을 자유롭게 통제하기 위해선 최초의 대칭을 만드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라면을 먹기위해서는 젓가락이 대칭이어야 한다. 짝짝이 젓가락으로는 면발을 통제할수 없다.

대칭 젓가락으로는 면발을 통제한다. 거기서 권력이 생성된다. 짝짝이 젓가락의 소유자들이 대칭 젓가락을 노린다.

물론 길이 대칭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녹말 젓가락은 라면국물에 녹아버려서 곤란하다. 면발을 대량으로 들었을때

중간부분이 부러져도 곤란하다. 손과 만나는 접점에 가시가 있거나 울퉁불퉁해도 곤란하다. 무쇠젓가락이라 무거워서

못움직여도 곤란하다. 짝짝이는 면발 하나만 집을수 있어 곤란하다. 

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사회의 많은 것들이 짝짝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구조론자의 할일이 여기에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492 4위는 과연 LG냐 SK냐? 까뮈 2014-10-16 1825
449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9-25 1826
4490 구조론, 그리고 동렬선생님께 감사드리며 image 말시인 2019-03-30 1826
4489 좋아하는 게 없다는 사람 9 연역 2019-07-31 1826
4488 알파고가 궁금하다5 수원나그네 2016-05-18 1827
4487 학생의 문제행동을 대하는 교사의 관점 1 이상우 2017-03-08 1827
4486 Circle image 1 펄잼 2017-03-23 1827
4485 생명의 바운더리. 아제 2018-06-04 1828
4484 사모펀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9-10-07 1828
4483 어제(토요일) 구조론 식구들과 함께 한 화담숲 단풍사진 image 4 수원나그네 2017-11-12 1829
4482 구조론 역삼 토론회 image 2 ahmoo 2014-09-11 1830
4481 안보와 남북화해는 별개가 아닌데. 노매드 2015-07-17 1830
4480 End of the Beginning image 1 락에이지 2017-03-10 1830
4479 세상이 헐헐 할 때 들으세요. 까뮈 2017-03-20 1830
4478 천년의 눈물, 전족의 진실은 과연 뭘까요? 2 김미욱 2019-06-25 1830
4477 목요 구조강론 image ahmoo 2014-11-20 1832
4476 수원대 이야기 2 수원나그네 2016-07-04 1832
4475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6-26 1833
4474 안녕하세요 우성 2018-08-25 1833
4473 구조론 통역을 잘하려면? image 2 수피아 2020-02-09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