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91 vote 0 2010.02.01 (22:17:22)

<과학>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서울=연합뉴스) 과거나 미래를 생각하기만 해도 사람의 자세가 저절로 바뀌는 것으로 밝혀져 사람의 시간 인식이 공간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입증했다고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이 최신 연구를 인용 보도했다.

영국 애버딘 대학 연구진은 심리과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사람은 시간을 생각할 때 공간 속에서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이는 인간 고유의 주관적인 시간여행 능력, 즉 신경과학자 엔델 털빙이 주장한 이른바 `크론에스테시아(chronesthesia)'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20명의 피실험자 몸에 운동 센서를 부착하고 미래나 과거의 일들을 생각하도록 주문했는데 15초가 지나자 과거의 일을 회상한 사람들은 몸이 1.5~2㎜ 뒤로 젖혀진 반면 미래를 생각한 사람들의 몸은 앞으로 3㎜ 정도 쏠린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어 피실험자들이 모든 방향으로 몸을 크게 움직이도록 유도하기 위해 눈을 가리기도 했으나 결과는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이런 현상이 어디서 비롯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른 문화권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지 관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많은 언어들이 `미래는 앞에 놓인 것이고, 과거는 뒤에 놓인 것'임을 시사하지만 안데스 지역에 사는 아메리카 원주민 아이마라족에게는 거꾸로 미래가 뒤에 있고, 과거가 앞에 있는 것으로 인식돼 있다"면서 이들의 자세가 이번 실험과 반대로 나타난다면 이런 행동은 학습된 것임을 입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youngnim@yna.co.kr
(끝)

필자의 주장과 닮아있소. 필자의 언어진화론에 의하면 you는 입술로 상대방을 가리키는 것, me는 자기를 가리키는 것, 나는 혀로 자기를 가리키는 것, 너는 혀로 상대방을 가리키는 것, 화가나면 입술이 튀어나오는 이유는 입술로 상대방을 배척하기 때문, 웃을때 근육이 당겨지는 것은 자신에게로 끌어당기기 때문.

그러나 위 기사의 과거는 고개를 젖히고 미래는 고개를 숙인다는 것은 다르오. 과거는 기억을 꺼내기 위해서 머리 뒷부분(이 게시판에서 누가 그랬더라. 이기준?.. 옥천모임에서)을 가리키는 것, 미래는 상상을 하기 위해 상상을 담당하는 전두엽쪽으로 고래를 숙이는 것.. 그런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02.02 (11:54:08)

흥미진진 하오.
발생경로를 따라 첫 소리, 첫 낱말을 발견하고,
다음 다섯, 다음 스물 다섯을 발견하면,
바로 구조사전으로 엮어지겠소.
후련한 사전이 기대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16
1657 여자의 19금 발언 2 김동렬 2014-11-07 4941
1656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938
1655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38
1654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936
1653 나에게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10 chow 2022-07-29 4934
1652 질문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30 김동렬 2013-01-13 4934
1651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4932
1650 구조론 시 아제 2010-02-08 4929
1649 짜증나는 지하철 시 image 10 김동렬 2014-02-19 4927
1648 초파리의 위장술 image 4 김동렬 2013-11-11 4926
1647 야구의 구조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5-03 4924
1646 공자의 정명사상 1 김동렬 2017-03-02 4921
1645 한국어와 마오리어 김동렬 2015-03-26 4921
1644 퇴계에 관한 글을 읽으며... image 1 푸른호수 2008-12-26 4916
1643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910
1642 조광래 축구의 명암 10 김동렬 2011-01-26 4908
1641 나랏말이.. 1 아제 2010-03-06 4902
1640 과학적 실재론 논쟁 image 1 다음 2021-06-03 4899
1639 피해자가 없을까? 4 김동렬 2015-03-14 4894
1638 인센티브 효과없다. image 3 김동렬 2015-10-27 4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