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02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43
3671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178
3670 인간이 불행한 이유 image 2 김동렬 2015-10-28 6975
3669 일층 위에 이층 있다 image 김동렬 2015-11-02 5098
3668 도덕경의 도생일 image 김동렬 2015-11-03 5391
3667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image 김동렬 2015-11-04 6504
3666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899
3665 우주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5 5234
3664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918
3663 존재의 최종근거 image 4 김동렬 2015-11-07 5031
3662 세상은 에너지의 우위로 작동한다 image 김동렬 2015-11-08 4922
3661 2층과 1층 image 김동렬 2015-11-09 4847
3660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image 김동렬 2015-11-09 5136
3659 원자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9 5470
3658 죽음을 극복하라 image 3 김동렬 2015-11-10 6520
3657 명절증후군의 이유 image 김동렬 2015-11-10 5227
3656 사건은 다섯 매개변수로 이루어진다 image 김동렬 2015-11-12 5295
3655 뭐든 구조를 탓하면 된다 image 3 김동렬 2015-11-14 5861
3654 토끼와 거북이의 우화 image 1 김동렬 2015-11-16 5946
3653 일이 일을 끌고 간다. image 1 김동렬 2015-11-17 5449
3652 조수석에서 보면 길을 익히지 못한다. image 3 김동렬 2015-11-18 5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