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431 vote 0 2016.08.29 (20:16:59)

  

    1.jpg


    에너지는 질의 상태다. 둘의 상호작용으로 하나의 계를 이룬다. 그림처럼 동그랗게 생긴 것은 아니다. 원자의 핵과 전자가 빛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는 그림을 떠올려도 좋다. 다양한 상호작용의 형태가 있다. 질은 결합한다 했으니 어떤 둘이 결합하여 하나의 계를 이루고 의사결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2.jpg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초끈이론을 떠올려도 좋다. 혹은 암흑에너지를 생각할 수도 있다. 세상은 공간의 진동으로 되어 있다. 짧은 끈이 진동한다면 어떤 둘이 무언가를 주고받는 것처럼 보인다. 끈이라면 양끝단이 있기 때문이다. 그 이상은 생각할 수 없다. 어떻든 진동하다보면 충돌하여 사건을 일으키게 된다.


    3.jpg


    진동은 확산방향이다. 일정한 임계에 이르면 서로 충돌하여 엮인다. 엮여서 계를 형성한다. 계는 공간의 요동이 충돌로 인해 확산방향에서 수렴방향으로 바뀐 것이다. 씨름선수가 서로의 샅바를 잡은 것과 같다. 핵과 전자가 샅바를 잡고 씨름을 하면 입자가 연출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자연에서 무수히 관찰된다.


   4.jpg


    입자는 하나가 하나를 업어서 내부에 축을 형성한 상태다. 물질이라면 핵이 전자를 업어서 지배하는 상태다. 전자가 핵에 잡혀버린 것이다. 씨름이라면 한 선수가 다른 선수에 잡혀서 무게중심을 빼앗긴 상태다. 한 쪽은 힘을 쓸 수 없다. 그러므로 외력에서 완전 독립한다. 입자가 되면 내부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5.jpg


    힘은 공간의 방향을 튼다. 지렛대의 원리가 작동하므로 진행방향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씨름선수는 상대방을 들어올려서 입자를 이룬 다음 방향을 틀어서 물리적으로 제압해야 한다. 이때 외부환경을 보고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씨름선수는 상대방을 땅에 패대기쳐야 한다. 땅과 교섭한다.


    6.jpg


    운동은 시간적인 진행이다. 시간을 앞당기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사실 변화는 질, 입자, 힘의 전과정에서 일어나지만 인간의 눈에 관찰되는 것은 운동이다. 질, 입자, 힘은 워낙 순식간에 결정되지만 운동은 시간을 끌므로 눈에 잘 보인다. 운동은 변화한다고 했다. 사실은 변화를 관측할 시간이 있는 것이다.


    7.jpg


    량은 승부가 끝났다. 씨름이라면 상대방의 체중이 지구로 침투해 버렸다. 양은 침투한다고 했다. 외부에 에너지를 뺏긴 것이다. 사건은 어떻게든 비가역적 열손실을 일으킨다. 조금이라도 무언가 빠져나간다. 량의 단계에서는 상대방을 통제할 수 없다. 그러나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최대한 회수할 수 있다.


    하나의 사건에서 의사결정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일어난다. 5회의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질이 가장 중요하다. 질은 균일해야 한다. 어른과 아기의 씨름이라면 애초에 시합이 성사되지 않는다. 두 선수의 힘이 비슷해야 상호작용을 일으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이다. 남녀간에 대등해야 한다.


    여자가 세거나 남자가 세면 상호작용이 아니라 일방작용이 된다. 사건은 실패다. 통제할 수 없다. 의사결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핸디캡을 주든 어떤 방법을 쓰던 균일하게 만들어야 한다. 일베와 메갈리아를 대결시켜 놓고 센 쪽에 핸디캡을 줘서 균형을 맞추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깨진다.


    어떻게든 다시 불균형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 반드시 승자와 패자가 가려지고 한쪽이 승리하고 한쪽이 패배한다. 우리는 평등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시합하기 위한 조건일 뿐 시합의 결과는 언제나 불평등이다. 의사결정은 결국 갑과 을을 만든다. 그리도 환경조건을 바꾸어 다시 대결하기를 반복한다.


   


[레벨:6]Nomad

2016.08.29 (21:14:43)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63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678
3644 작용과 반작용 image 김동렬 2015-11-19 6667
3643 인간은 두 번 배반당한다. image 1 김동렬 2015-11-20 6013
3642 대칭을 깨닫자 image 1 김동렬 2015-11-21 6183
3641 대칭과 패턴 image 김동렬 2015-11-23 9015
3640 균일성과 대칭성 image 김동렬 2015-11-24 5374
3639 대칭에서 모형으로 올라서라 image 김동렬 2015-11-25 5284
3638 균일 불균일 다시 균일 김동렬 2015-11-25 4983
3637 새가 한쪽다리로 서는 이유는? image 1 김동렬 2015-11-26 6728
3636 사랑의 정석 1회 image 4 김동렬 2015-11-26 5234
3635 세가지 우주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26 5212
3634 성공으로 가는 5단계 image 김동렬 2015-11-26 5815
3633 사랑의 정석 2회 image 1 김동렬 2015-11-27 4908
3632 수평에서 수직으로 도약하라 image 김동렬 2015-11-27 5281
3631 언어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28 5810
3630 예능프로의 포맷구조 image 김동렬 2015-11-30 5319
3629 사랑의 정석 3회 1 김동렬 2015-11-30 4745
3628 케인즈가 옳다 image 김동렬 2015-11-30 4996
3627 큰 것에서 작은 것이 나왔다 image 김동렬 2015-12-01 4885
3626 사랑의 정석 4회 2 김동렬 2015-12-01 4623
3625 유교는 사랑이다. image 3 김동렬 2015-12-01 5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