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90 vote 0 2016.08.01 (22:55:24)

https://is.gd/9XnzVc


저번에 시사리트윗에서 챠우님이 언급한 건데 

기사본문에 언급되는 순환정의는 제가 꼬맹이 때 주목한 거죠.


근데 과연 이 분은 국어사전을 바르게 쓸 수 있는 해법을 찾았을까요?

일단 어원을 알아야 하는데 한국어는 어원이 거의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zaa.jpg


성가시다는 방해되다. 

번거롭다는 반복되다.

귀찮다는 중요하지 않다.


귀찮다를 알려면 귀하다를 알아야 하는데 한자어입니다.

한자어 귀하다는 무슨 뜻일까요? 귀천이 대립되므로 천하다 반대가 귀하다죠.


천한 것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의사결정 관점에서 봐야 규명이 됩니다.


번거롭다는 여러번 반복된다는 의미인데 역시 어원을 알아야 합니다.

옛말로는 한 배 두 배 하는 식으로 접미어 ~ble를 붙인게 반복이죠. 더블 트리플 하는 식.


배의 원래 의미는 접시인데 밥그릇을 뜻하는 발, 보울 등으로 의미가 남아있습니다.

밸런스는 저울접시인 배가 두 개라는 의미.


책을 안 봐서 모르겠지만 대략 엉터리라고 봅니다.

언어는 굉장히 많은 단어가 대칭을 쓰거나 살짝 비틀어서 만듭니다.


언어가 만들어지는 패턴을 알아야 한다는 거죠.

예컨대 구멍이 우멍으로 >우묵배기.. 이런 식으로 변하는데 


ㄱ탈락은 구멍의 깊이가 얕아진 거죠.

건들건들보다 흔들흔들이 더 약하게 흔들리는 거.


굽다보다 휘다가 더 약하게 굽은 거.

엉덩이는 궁뎅이보다 곡률이 약한 윗부분 궁뎅이.


바르다는 직선으로 뻗다에서 온 거.  

아빠는 엄마를 반대로 발음한 거.


감감무소식보다 깜깜무소식이 더 센 거.

이런 패턴을 구조론을 모르고 그냥 알아내기는 아마 불가능.



[레벨:10]다원이

2016.08.02 (20:27:50)

이거 매우 중요한거라서 새겨둡니다. 많이 배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681
958 어느 쪽이 더 튼튼할 것 같소? image 5 김동렬 2013-01-22 3843
957 카이지의 가르침 image 김동렬 2015-12-02 3846
956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846
955 과학인척 하는 비과학 image 김동렬 2015-12-02 3847
954 7500년 전 이집트 고대도시 image 김동렬 2016-11-25 3848
953 못하는 능력 담 |/_ 2013-07-24 3849
952 소시오패스의 규칙 1 김동렬 2016-01-18 3851
951 가야는 없다. 1 김동렬 2017-01-20 3851
950 사피엔스? 김동렬 2016-05-25 3852
949 김헌동? image 2 챠우 2017-04-24 3856
948 생각의 정석 17회: 문제적 인간, 김동렬 10 오세 2013-11-12 3857
947 깨달음의 문법 1 systema 2017-05-05 3871
946 타밀어와 한국어 1 김동렬 2019-10-16 3874
945 팟캐스트 총선특집 image 김동렬 2016-04-13 3876
944 알아 차려야 하오 2 지여 2010-12-22 3880
943 마지막 낙원 담 |/_ 2013-09-23 3882
942 사실자체 그리고 역사기록 7 지여 2010-12-10 3885
941 직관의 함정 image 1 김동렬 2015-08-28 3885
940 왜 독재자는 하층민에게 지지를 받는가? 2 오세 2013-03-10 3886
939 공룡은 서서히 멸종했다. 김동렬 2016-04-19 3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