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24 vote 0 2016.07.09 (18:51:12)

     

    먼저 그것의 배경을 보고, 다음 바로 그것을 보고, 다시 배경과 그것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보고, 다음 그 움직임의 앞과 뒤를 살펴 방향성을 보고, 거기서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하나의 점, 곧 소실점을 봐야 한다. 그럴 때 완전하다.


    그 작은 한 점을 움직여서 돌아가는 판도 전체를 통제할 수 있으니, 잽싸게 기동하여 그 한 점을 장악하고, 꺼져가는 불씨를 옮겨붙이듯이 때로는 굳건히 막아서 지키고 때로는 살살 불어서 퍼뜨려야 한다.


    이미 벌어져 있는 일을 평론하고 심판하는 자가 되지는 말라. 마땅히 주인된 도리로 의도를 가지고 선제대응해야 하는 법이니, 그 작은 점을 장악하고, 지키고, 퍼뜨리는 자가 되라.


    인仁≫지智≫의義≫신信≫예禮로 가능하니 인仁이 불쏘시개가 되고, 지智가 불씨가 되니, 의義의 불꽃을 크게 일으켜, 신信으로 옮겨붙이면, 예禮로 퍼뜨려진다. 그리고 만날 사람이 만나게 된다.


    ◎ 인仁 - 보편주의
    ◎ 지智 - 평등주의
    ◎ 의義 - 민주주의
    ◎ 신信 - 자본주의
    ◎ 예禮 - 사회주의


    보편을 하면 평등문제가 생기고, 평등을 하면 민주문제가 생기고, 민주를 하면 자본문제가 생기고, 자본을 하면 사회문제가 생긴다. 우리가 선의를 가지고 달려들어 문제를 해결할수록 일은 더욱 꼬여서 골치가 아파지는 것이다.


    보수꼴통은 보편단계에서 불인을 행하여 평등문제를 방지한다. 무지를 행하여 민주문제를 막고, 불의를 행하여 자본문제를 막고, 불신을 행하여 사회문제를 차단하니 애초에 문제발생 여지를 막아버리는 수법이다.


    흑인과 백인의 거주지를 분리하여 충돌의 소지를 없애는 것과 같다. 일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러다가 문제해결능력이 약화되어 망한다. 문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머리를 쓸수록 일은 꼬이는 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의연하게 진도 나가야 한다. 무엇이 두렵다는 말인가? 적어도 문제해결능력을 얻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52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72
3575 근원의 논리는 하나다 2 김동렬 2018-06-11 8791
3574 삼성의 소행, 성공한 도둑질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91
3573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761
3572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52
3571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751
3570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750
3569 에너지와 구조 김동렬 2018-06-06 8743
3568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42
3567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734
3566 제 2의 스푸트니크 쇼크가 온다. image 11 김동렬 2015-06-29 8719
3565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8718
3564 사기당하지 않으려면 image 1 김동렬 2014-06-19 8715
3563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13
3562 마지막 한 걸음 김동렬 2013-12-16 8711
3561 인간이 관측하다. image 김동렬 2016-10-14 8709
3560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09
3559 에너지는 수렴된다 1 김동렬 2018-06-01 8706
3558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8702
3557 이것이 전략이다. image 16 김동렬 2014-12-30 8701
3556 달이 뜨다 김동렬* 2012-10-21 8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