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96 vote 0 2016.07.09 (18:51:12)

     

    먼저 그것의 배경을 보고, 다음 바로 그것을 보고, 다시 배경과 그것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보고, 다음 그 움직임의 앞과 뒤를 살펴 방향성을 보고, 거기서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하나의 점, 곧 소실점을 봐야 한다. 그럴 때 완전하다.


    그 작은 한 점을 움직여서 돌아가는 판도 전체를 통제할 수 있으니, 잽싸게 기동하여 그 한 점을 장악하고, 꺼져가는 불씨를 옮겨붙이듯이 때로는 굳건히 막아서 지키고 때로는 살살 불어서 퍼뜨려야 한다.


    이미 벌어져 있는 일을 평론하고 심판하는 자가 되지는 말라. 마땅히 주인된 도리로 의도를 가지고 선제대응해야 하는 법이니, 그 작은 점을 장악하고, 지키고, 퍼뜨리는 자가 되라.


    인仁≫지智≫의義≫신信≫예禮로 가능하니 인仁이 불쏘시개가 되고, 지智가 불씨가 되니, 의義의 불꽃을 크게 일으켜, 신信으로 옮겨붙이면, 예禮로 퍼뜨려진다. 그리고 만날 사람이 만나게 된다.


    ◎ 인仁 - 보편주의
    ◎ 지智 - 평등주의
    ◎ 의義 - 민주주의
    ◎ 신信 - 자본주의
    ◎ 예禮 - 사회주의


    보편을 하면 평등문제가 생기고, 평등을 하면 민주문제가 생기고, 민주를 하면 자본문제가 생기고, 자본을 하면 사회문제가 생긴다. 우리가 선의를 가지고 달려들어 문제를 해결할수록 일은 더욱 꼬여서 골치가 아파지는 것이다.


    보수꼴통은 보편단계에서 불인을 행하여 평등문제를 방지한다. 무지를 행하여 민주문제를 막고, 불의를 행하여 자본문제를 막고, 불신을 행하여 사회문제를 차단하니 애초에 문제발생 여지를 막아버리는 수법이다.


    흑인과 백인의 거주지를 분리하여 충돌의 소지를 없애는 것과 같다. 일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러다가 문제해결능력이 약화되어 망한다. 문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머리를 쓸수록 일은 꼬이는 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의연하게 진도 나가야 한다. 무엇이 두렵다는 말인가? 적어도 문제해결능력을 얻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760
3684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6437
3683 언어가 인간을 규정한다 image 14 김동렬 2015-09-29 6438
3682 내부의 내부는 외부다 image 7 김동렬 2015-06-16 6448
3681 구조론은 확률이다 image 김동렬 2016-09-04 6448
3680 세 번의 YES와 두 번의 NO image 3 김동렬 2014-11-30 6451
3679 망둥이와 꼴뚜기 image 4 김동렬 2016-03-07 6454
3678 진화는 우연일까 필연일까? image 4 김동렬 2015-02-11 6457
3677 존엄에서 행복으로 image 1 김동렬 2014-12-16 6458
3676 1이 2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6-08-21 6466
3675 역사는 종교로부터 시작되었다 image 6 김동렬 2016-06-09 6469
3674 선제대응하라 김동렬 2014-08-17 6475
3673 중국을 망친 손자병법 image 2 김동렬 2016-02-29 6476
3672 이것이 있으면 저것은 없다 1 김동렬 2018-08-03 6477
3671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9-08-07 6479
3670 서세원과 조영남 2 김동렬 2016-06-20 6481
3669 자연의 의사결정원리 1 김동렬 2014-08-12 6486
3668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6490
3667 율곡이 퇴계보다 높다 image 3 김동렬 2016-04-26 6494
3666 쉬운 용어로 본 관점의 문제 3 김동렬 2014-07-18 6497
3665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6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