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이란
인류최초로 산술을 발견한 사람은 세상을 다 얻은 듯이 기뻐했을 것이다. 이것으로 모든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믿었을 것이다.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실제로 수학이 인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믿었던 사람이다. 그의 생각은 맞으면서도 틀렸다. 그의 수학은 2500년전 그 시대에 인류가 현실적으로 맞닥드렸던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했을 뿐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문제를 제기하는 능력에 비례한다. 우리가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실패하는 이유는 문제를 정교하게 제기하는데 성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튼은 그의 고전물리학으로 그 시대에 제기된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뉴튼이 미처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은 뉴튼 당시에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던 사안들이었다.

뉴튼 이후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이 더욱 정교해지므로서 물리학은 더욱 정밀한 답변을 요구받았던 것이다. 이는 해커와 보안업체의 대결처럼 끝없는 평행선을 그린다. 그러면서 때로는 오랫동안 정체하기도 하고 때로는 한 단계 도약하기도 한다.

구조론 또한 마찬가지다. 구조론은 2003년 이 시대에 인류가 부닥치는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물론 인류는 더욱 전진할 것이며 구조론으로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수없이 찾아내는데 성공할 것이다.

구조론으로도 해결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들은 구조론에 의해 새로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즉 구조론은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이면서 동시에 새로이 문제를 찾아내는 돋보기인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09-01-02 9890
79 신과학 이론 김동렬 2002-09-06 4304
78 변증법 김동렬 2002-09-06 3478
77 성철이야기 김동렬 2002-09-06 3521
76 열사논단 2 김동렬 2002-09-06 3465
75 열사논단 김동렬 2002-09-06 3615
74 스타의 값어치 김동렬 2002-09-06 2762
73 주류와 비주류의 변증론 김동렬 2002-09-06 3201
72 개고기 권하는 사회 김동렬 2002-09-06 3931
71 로마인 이야기 이해하기 김동렬 2002-09-06 3911
70 하늘호수로 떠난 여행 김동렬 2002-09-06 4367
69 바우 철학이야기 2-인연 김동렬 2002-09-06 2730
68 서강한담 2 - 진정한 믿음 김동렬 2002-09-06 3913
67 철학에세이 - <서강한담> 김동렬 2002-09-09 5559
66 정신과학, 틈새시장을 노린다 김동렬 2002-09-09 3218
65 - 후기 - 김동렬 2002-09-09 2770
64 12장 - 우리에게 필요한건 미학이다 김동렬 2002-09-09 3179
63 11장 - 철학하기의 출발 김동렬 2002-09-09 2880
62 8장 - 사상과 이데올로기 김동렬 2002-09-09 3006
61 7장 - 사상의 형식 김동렬 2002-09-09 2935
60 6장 - 사상 김동렬 2002-09-09 2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