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242 vote 0 2016.06.10 (18:29:39)

     

    모계사회가 무속에 의해 유지된다면 부계사회는 종교에 의해 유지된다. 종교는 신전을 중심으로 구심점을 형성하여 대집단을 이루려는 분명한 의도를 가지고 출범했다. 그래서 선교행위를 하는 것이다.


    샤머니즘의 주술에는 그러한 의도가 없으므로 주술사는 선교하지 않는다. 정주생활을 하는 대집단의 결속유지가 종교의 기능이다.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는 물리적으로 증명되지만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는 입증되지 않으므로 종교의 믿음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기는 길과 효율적인 길


    두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옳은 길이며 하나는 이기는 길이다. 그런데 옳다는 것이 무엇인가? 대개는 효율적인 것이다. 효율적인 것은 방어다. 방어하다가 궁지에 몰려서 진다. 우리는 이기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 먼저 이기는 길을 찾고 그 길 안에서 효율성을 논해야 한다.


    ◎ 진보의 연대 – 대집단을 만들어 이기는 길이다.
    ◎ 보수의 고립 – 소집단을 만들어 효율을 얻는 길이다.


    FTA 찬성은 이기는 길이고 반대는 효율적인 길이다. 진보의 이상은 이기는 길이고 이명박의 실용은 효율적인 길이다. 트럼프의 고립주의로 효율을 얻어 백인 하층민의 배를 채울 수 있으나 미국을 패배로 이끈다. 국민의당이 소집단을 만들어 효율적인 선거를 했으나 패배하는 길이다.


    공자는 이기는 길을 제시했고 노자는 효율적인 길을 제시했다. 공자가 먼저다. 공자의 큰 틀 안에서 부분적으로 노자를 쓰면 바르다. 공자의 비전없이 함부로 노자의 실속을 탐하면 망한다. 무속이 종교를 이기지 못하듯이, 소집단의 생존전략으로는 대집단의 세력전략을 이기지 못한다. 이기는 길로 가야 한다.


aDSC01523.JPG


    무속이나 종교나 같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추가합니다. 무속과 종교는 모계사회와 부계사회만큼 다릅니다. 무속이 소승이면 종교는 대승입니다. 개인적인 대응이냐 집단적인 대응이냐지요. 엄밀히 말하면 종교 안에 무속이 침투한 겁니다. 본질에서 종교는 기복을 위해 있는게 아닙니다. 내세에 천국가는게 종교의 목적은 아닙니다. 종교는 대집단을 이루고 집단적인 대응을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레벨:14]해안

2016.06.10 (20:31:29)

감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9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610
3583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image 김동렬 2016-08-05 6180
3582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7011
3581 서양철학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6-08-02 8951
3580 사랑 126, 첫 키스의 추억 image 1 김동렬 2016-08-01 5801
3579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428
3578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896
357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7 김동렬 2016-07-28 22138
3576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516
3575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5811
3574 진리의 매개체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7-25 5436
3573 사랑 124, 진격은 쾌속이 정답 1 김동렬 2016-07-21 5381
3572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6-07-20 6171
3571 구조론 총정리 4 김동렬 2016-07-19 6014
3570 모든 것의 근원 김동렬 2016-07-18 5571
3569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166
3568 완전성으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7-17 5202
3567 언어의 족보를 찾아라 1 김동렬 2016-07-15 5696
3566 계속 가는 자가 승리자다 1 김동렬 2016-07-13 5736
3565 나머지의 나머지 6 김동렬 2016-07-13 5492
3564 나머지 이야기 2 김동렬 2016-07-12 5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