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687 vote 1 2016.04.21 (11:43:11)

3.jpg


4.jpg


6.jpg



아랍어와 히브리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자를 쓴다. 영어와는 쓰는 방향이 반대다. 

중국의 한자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한자는 죽간에 세로쓰기를 하므로 그 유래가 다르다. 


한자가 왼쪽으로 쓰는 이유는 죽간 두루마리를 오른손으로 펼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왼손에 죽간을 들고 오른손으로 펼치며 세로로 읽는다. 당시의 기준으로는 자연스럽다.


아랍어는 왜 반대방향인가? 아랍어는 세로쓰기가 아니고 두루마리는 위로 펼쳐도 된다. 

결론은 오른손잡이 석공이 돌에 글자를 새기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집트에서 


돌기둥에 글자를 새기던 관행이 지금까지 이어졌다고 봐야 한다. 오른손으로 왼쪽으로 

종이에 글자를 쓰면 팔꿈치가 허리에 닿으니 불편하다. 잘못된걸 고칠 기회를 놓쳤다.


과감한 의사결정을 못한 것이다. 한글도 한자처럼 반대로 쓰다가 바꾸었는데 말이다. 

한국은 되는데 그들은 왜 안 되는 걸까? 사이즈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은 영토가 작다. 


한국인끼리 의사결정하면 된다. 그러나 아랍세계는 거대해서 과감한 의사결정 못한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워낙 인간들이 많아서 과감한 의사결정을 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 


모택동이 간체를 보급한 것은 용감한 결정이다. 그런 지도자가 쉽게 등장하지 못하니

민주화를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구조론의 관점은 결따라 간다는 것이다. 의사결정하기


쉬운 쪽으로 결정한다. 어떤 의도나 목적, 이념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냥 하기에

편한대로 한다. 세상 모든 것이 그러하다. 즉 옳고 그름의 판단이 틀려서가 아니다.


잘못된건 일단 지도자가 없고, 이단 지도자의 말을 듣지 않고, 삼단 매뉴얼이 없고 

사단 우왕좌왕 하다가, 어어 하는 사이에 잘못되는 거지 이념이나 노선문제 아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34
97 일상에 대한 단상 12 참삶 2009-05-15 4754
96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73
95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233
94 노무현은 아직도 할 일이 많다. 4 양을 쫓는 모험 2009-04-30 6296
93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72
92 돈있는 수구꼴통들은 죄가 없습니다 물론, image 가혹한너 2009-04-17 8260
91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948
90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924
89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43
88 용력을 과시하는 시골 용사가... 2 읍내리 2009-04-10 5617
87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801
86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710
85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161
84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92
83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552
82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84
81 류현진과 정현욱의 차이 3 눈내리는 마을 2009-03-18 6412
80 아란도님의 질문에 대하여 5 김동렬 2009-03-17 4778
79 불교를 구조론으로 풀어내는 것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아란도 2009-03-17 5133
78 관계는 생명입니다. 3 ahmoo 2009-03-16 4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