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78 vote 0 2016.04.05 (14:53:58)

     

    왜 사실주의인가? 세상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짜덩어리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부분을 따로 떼서 제멋대로 요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소를 죽이지 않고는 요리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입맛대로 편리하게 잘 되지 않는다. 중요한 의사결정을 앞두고 우리는 막다른 골목에 선다. 어려운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러므로 언제라도 진리가 갑이어야 한다. [생각의 정석 90회]


    예술의 근본은 사실주의다. 그러나 그 사실주의가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아니다. 판타지라도 그 안에는 내밀한 논리가 있어야 한다. 그 논리의 정합성이 사실주의를 이룬다. 사실주의는 있는 사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만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배경이 되는 무대는 과거나 미래의 비현실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그 무대 안에서 의사결정은 하나를 건드리면 전부가 반응한다는 자연의 사실을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 주인공이 운이 좋아서 이기는 것은 사실주의가 아니다. 이길 수 있는 구조에서 이기는 것이 사실주의다.


aDSC01523.JPG


    김기덕 영화의 무대는 사실주의가 아니지만 논리는 소름끼치도록 사실적입니다. 냉혹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혼자 잘 되는 수는 없습니다. 선한 주인공이 나쁜 악역을 쳐죽일 때, 주인공도 이미 악당이 되어 있습니다. 그 세계가 추한데 주인공만 홀로 아름다울 수는 없다는 것이 사실주의입니다. 더러운 세상에는 모두가 더럽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세상에는 창녀도 있고 선녀도 있는게 아니라, 모두가 창녀거나 아니면 모두가 선녀거나, 아니면 선녀가 곧 창녀거나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비장애인이거나 모두가 장애인이거나 아니면 비장애인이 장애인이거나입니다. 그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사실주의입니다. 예수가 2천년 전에 써먹은 논리지만.


[레벨:30]솔숲길

2016.04.05 (18:17:36)

[생각의 정석 90회] [광복절특집] 일본 사과 필요없다!!!

http://gujoron.com/xe/61490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47
3519 사랑 110, 예수의 부름 image 1 김동렬 2016-05-23 5594
3518 사랑 109, 중심은 어디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5-19 5728
3517 식민사관 본질은 인종주의다 image 11 김동렬 2016-05-18 7391
3516 사랑 108, 인류의 전쟁 image 1 김동렬 2016-05-17 5470
3515 사랑 107, 변하지 않는 나 image 1 김동렬 2016-05-16 5695
3514 괴짜가 창의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5-15 6390
3513 인간의 세 가지 문제 image 김동렬 2016-05-11 6731
3512 피아노와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05-11 5551
3511 완전한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5-10 5449
3510 인간은 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16-05-09 9510
3509 성선설과 성악설 image 김동렬 2016-05-09 7003
3508 사랑 106, 완전한 것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5-09 5404
3507 완전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5-06 5818
3506 패턴을 추출하라 image 김동렬 2016-05-05 6204
3505 사랑 105, 깨달음의 적기는? image 4 김동렬 2016-05-04 5802
3504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085
3503 사랑 104, 사랑의 정답은 image 1 김동렬 2016-05-03 5979
3502 바둑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6-05-02 5681
3501 왜 남인세력이 문제인가?(수정) image 김동렬 2016-04-30 6776
3500 공자의 죽음과 부활 image 김동렬 2016-04-29 6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