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21 vote 0 2016.04.01 (22:35:31)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이 관점의 문제다. 관점의 문제는 깨달음의 문제다. 아직 못 깨달은 사람은 얼른 깨닫고 와야 한다. 그래야 대화가 된다.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은 모두 중간에서 필터링이 된 가짜다. 원본을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생각의 정석 88회]


    그림에 원근이 있고 음악에 화음이 있다. 원근은 어떤 둘의 사이에 있다. 화음은 두 음의 사이에 있다. 거기에 깨달아야 할 완전성이 있다. 관측대상은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이지만, 그 사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완전하다.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므로 대화가 되지 않는다. 남북한 간에 대화가 안 되고, 진보와 보수 간에 대화가 안 된다. 사이의 완전성을 볼 때 극복된다. 비로소 대화에 성공할 수 있다. 진보가 보수를 설득할 수 있다. 지가 무지를 제압할 수 있다. 아는 사람의 세상이 열린다.



aDSC01523.JPG


[레벨:30]솔숲길

2016.04.02 (17:13:57)

[생각의 정석 88회] 국정원식 살인

http://gujoron.com/xe/61155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1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382
3524 구조론은 의사결정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4-04-21 7395
3523 구조론 쉽게 익히기 image 4 김동렬 2014-07-27 7401
3522 존엄이냐 행복이냐 image 3 김동렬 2014-12-13 7405
3521 간은 무한이다 image 6 김동렬 2014-11-04 7411
3520 식민사관 본질은 인종주의다 image 11 김동렬 2016-05-18 7422
3519 너희는 진리를 사랑하라 image 김동렬 2016-09-06 7431
3518 자본은 왜 발전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9-10 7431
3517 석가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30 7435
3516 철학에서 미학으로 image 2 김동렬 2016-08-31 7437
3515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438
3514 에너지의 탄생 image 1 김동렬 2016-08-29 7441
3513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52
3512 지식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1-28 7463
3511 거꾸로 생각하라. image 김동렬 2015-03-06 7464
3510 깨진 유리창 이론[추가됨] image 1 김동렬 2015-02-02 7472
3509 구조론의 정수 image 1 김동렬 2015-06-10 7472
3508 대중은 원래 비겁하다 image 김동렬 2016-09-22 7479
3507 깨달음은 1인칭이다 2 김동렬 2014-05-27 7487
3506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8 김동렬 2015-01-14 7488
3505 위치에너지가 정답이다. image 5 김동렬 2015-06-14 7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