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61 vote 0 2016.03.11 (13:19:24)

     

    세상에서 가장 센 것은 여러 사람의 힘과 생각을 합치는 기술이다. 거기에는 혼돈이라는 자궁과 질서라는 아기가 공존해 있다. 혼돈이 없으면 질서도 없다. 혼돈이 먼저 오고 질서는 나중 온다. 혼돈이 올 때 에너지는 응축되고, 질서가 올 때 에너지는 격발한다. 움츠린 다음에 도약하듯이. 혼돈에는 마녀사냥의 폐단이 따르고, 질서에는 전체주의 폐단이 따른다. 혁신과 반동의 패턴은 끝없이 반복된다. 지금 세상은 미디어 혁명의 반동에 따른 또다른 혼돈 속으로 빨려들고 있다. 종편과 일베충이 기승을 부린다. 최후에 해결할 자는 누구인가? [생각의 정석 72회]


    인터넷이 새로운 질서를 만들었지만 다시 일베충이라는 혼돈으로 빠졌다. 그럴 때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이 또다른 질서를 만들고 있다. 다가오는 AI의 시대에 우리가 선제대응해야 한다. 혼돈에는 자유가 있고 질서에는 힘이 있다. 혼돈은 확산방향이고 구조론은 이를 수렴방향으로 바꾼다. 질을 입자로 바꾼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갈수록 선택지는 좁아진다. 모든 것은 점차 나빠진다. 각오해야 한다. 최악이라고 생각될 때가 바로 천장을 뚫고 솟아오를 타이밍이다.


aDSC01523.JPG


    수구꼴통은 질서만 찾다가 에너지 손실로 망합니다. 무뇌좌파는 혼돈에서 길을 잃고 헤어나지를 못합니다. 우리는 혼돈을 즐기면서 질서로 방향을 틀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또다른 혼돈의 장을 설계해야 합니다.



 


    숙


[레벨:30]솔숲길

2016.03.12 (18:14:49)

[생각의 정석 72회] 찌질이 역사관을 극복하자.

http://gujoron.com/xe/57806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6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447
3492 신의 입장 김동렬 2018-07-18 7596
3491 구조론적 세계관이란? [추가] image 김동렬 2016-09-16 7612
3490 높은 음과 낮은 음 image 3 김동렬 2014-11-16 7616
3489 장자의 불완전한 1인칭 관점 1 김동렬 2014-07-30 7626
3488 결혼은 연애의 무덤인가? image 김동렬 2015-02-28 7641
3487 의식은 놔두고 존재를 바꾸라. image 김동렬* 2012-10-21 7661
3486 나를 건설하는 절차 image 3 김동렬 2014-11-25 7664
3485 인간은 두 번 승부한다 image 4 김동렬 2014-11-27 7668
3484 수렴모형이냐 확산모형이냐? image 2 김동렬 2015-04-25 7670
3483 객관이 틀렸다 7 김동렬 2014-06-16 7671
3482 다섯가지 구조 그림풀이 image 2 김동렬 2016-09-15 7675
3481 신은 의사결정이다 5 김동렬 2014-06-22 7676
3480 세가지 깨달음 4 김동렬 2014-06-09 7694
3479 깨달음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4-04-29 7696
3478 첫 번째 패는 무조건 바꿔라 image 2 김동렬 2014-10-10 7697
3477 세상의 모형 3 김동렬 2014-03-02 7710
3476 자기소개를 해야할 때 1 김동렬 2014-07-11 7712
3475 먼저 자기 자신과 화해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8-24 7718
3474 나쁜 신의 입장 5 김동렬 2018-07-23 7718
3473 구조론이란 무엇인가(수정) 김동렬 2007-06-14 7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