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40 vote 0 2016.03.08 (14:47:07)

       

    반응할줄 아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반응하라고 하면 홀려버리는게 보통이다. 높은 층위에서의 부르는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작은 것에 지나치게 잘 반응한다. 음식의 맛에 반응하는건 좋지만, 맛에 집착하면 향을 모른다. 향에 집착하면 분위기를 모른다. 분위기에 집착하면 소통을 모른다. 그러므로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 유쾌한 긴장 안에서 호흡하지 못한다. 상대방에게 홀리지 말고 내가 상대방을 홀릴 때 통한다. 그래야 만난다. [생각의 정석 69회]


    호응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낮은 단계에 반응할 뿐 높은 단계에 호응하지 못한다. 역할을 나누고, 칸을 나누고, 담장을 쌓고, 격리하는 방법으로 구조 안에서 잘 반응할 뿐 그 역할과 구조를 넘어서지는 못한다. 내 안에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유혹할 수 있어야 한다. 유혹에 잘 넘어가는 방법으로 유혹할 수 있다. 높은 단위의 유혹에 넘어가는 방법으로, 낮은 단위의 상대를 유혹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진리로 유혹하고, 천하로 유혹해야 한다. 그것이 호응이다. 반응은 안에서 응답하고 호응은 밖에서 응답한다. 반응에 그치지 말고 호응으로 올라서야 한다.



aDSC01523.JPG


[레벨:30]솔숲길

2016.03.08 (17:05:02)

[생각의 정석 69회] 조선은 왜 망했는가?

http://gujoron.com/xe/57406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200
3498 존재의 최종근거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7-08 7509
3497 제프 베조스의 경우 3 김동렬 2018-07-25 7509
3496 인간의 본질은 이기심이 아니다 image 1 김동렬 2016-09-14 7513
3495 철학과 비철학 1 김동렬 2014-03-11 7517
3494 구조론적 사유 훈련하기 image 50 김동렬 2015-01-16 7517
3493 신의 입장 김동렬 2018-07-18 7521
3492 유시민과 역이기의 삽질 1 김동렬 2018-07-19 7526
3491 깨달음의 요지 8 김동렬 2014-06-18 7531
3490 구조론적 세계관이란? [추가] image 김동렬 2016-09-16 7564
3489 장자의 불완전한 1인칭 관점 1 김동렬 2014-07-30 7569
3488 높은 음과 낮은 음 image 3 김동렬 2014-11-16 7571
3487 의식은 놔두고 존재를 바꾸라. image 김동렬* 2012-10-21 7589
3486 객관이 틀렸다 7 김동렬 2014-06-16 7589
3485 나를 건설하는 절차 image 3 김동렬 2014-11-25 7596
3484 결혼은 연애의 무덤인가? image 김동렬 2015-02-28 7597
3483 신은 의사결정이다 5 김동렬 2014-06-22 7611
3482 수렴모형이냐 확산모형이냐? image 2 김동렬 2015-04-25 7612
3481 다섯가지 구조 그림풀이 image 2 김동렬 2016-09-15 7618
3480 인간은 두 번 승부한다 image 4 김동렬 2014-11-27 7630
3479 깨달음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4-04-29 7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