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52 vote 0 2016.02.12 (10:28:36)

     

    신인 연기자가 데뷔초부터 몸 사리고, 눈치보고, 겸손 떨고, 선배 섬기고, 착한 척하고 그러다가는 크지 못한다. 기회를 잡으면 과감하게 미모를 앞세우고, 싸가지 없게 굴고,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버려야 한다. 그렇게 위악적인 캐릭터로 겂없이 질주하면 처음에는 의외로 반응이 없다가, 어느 시점에 느닷없이 태클이 들어온다. 그 때는 피해야 한다. 폭주하면 다친다. 적당한 시점에 동료를 챙기고, 라이벌을 배려하는 지혜로운 마녀로, 연기파 배우로 변신해야 한다. 애초에 변신할 의도를 가져야만 제대로 자기 캐릭터를 살릴 수 있다. 핵심은 과감한 의사결정이다. [생각의 정석 52회]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오르막길을 만나면 50미터 전부터 힘껏 페달을 밟아야 한다. 가속도로 고비를 넘어야 한다. 고비를 만나서 그제서야 힘을 낸다면 늦다. 초반에는 약간의 오버페이스가 필요하다. 계속 오버하다가는 리스크를 키워서 명을 재촉하게 된다. 때로는 오버해야 하나 의도적이어야 한다. 뒤로 한 걸음 물러나기 위한 두 걸음의 전진이어야 한다. 강약의 조절이 필요하다. 천장을 뚫을 때는 비축된 힘으로 단번에 뚫어야 한다. 그 다음은 쉬어야 한다. 그러므로 위선적인 캐릭터보다는 위악적인 캐릭터가 낫다. 젊은이는 바른 길을 찾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길을 가보는 것이다. 처음부터 바른 길로만 가려고 하면 가지 못한다. 고비를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잘못된 길로 계속 가면 당연히 죽는다.


aDSC01523.JPG


    먼 길을 갈 때는 동료와 함께 가야 합니다. 안전하게 동료 뒤에 서 있으면 전방의 장애물을 보지 못하므로 미끄러져서 낙오하게 됩니다. 초반에는 무리하게 앞서가며 길잡이노릇을 해야 합니다. 잘못된 길로 가다가 되돌아오며 집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해야 합니다. 잘하면 박수받고 못하면 동료가 도와줍니다. 그렇게 상호작용하며 서서히 집단 안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2.12 (16:16:26)

[생각의 정석 52회] A급 컨텐츠와 B급 컨텐츠

http://gujoron.com/xe/53070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9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62
3532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7358
3531 대학은 대학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05 7364
3530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366
3529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367
3528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383
3527 시행착오의 이유 김동렬 2018-07-09 7417
3526 구조론과 관념론 1 김동렬 2018-07-09 7423
3525 구조론은 의사결정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4-04-21 7436
3524 간은 무한이다 image 6 김동렬 2014-11-04 7440
3523 식민사관 본질은 인종주의다 image 11 김동렬 2016-05-18 7444
3522 구조론 쉽게 익히기 image 4 김동렬 2014-07-27 7449
3521 존엄이냐 행복이냐 image 3 김동렬 2014-12-13 7461
3520 자본은 왜 발전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9-10 7461
3519 너희는 진리를 사랑하라 image 김동렬 2016-09-06 7462
3518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4-04-10 7464
3517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466
3516 석가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30 7478
351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83
3514 에너지의 탄생 image 1 김동렬 2016-08-29 7486
3513 철학에서 미학으로 image 2 김동렬 2016-08-31 7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