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8753 vote 0 2006.05.06 (07:16:51)

미국에서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좁게는, 비내리는 것에 대해서 공부하는데요.
서양의 공학에서는 이 비내리는걸 예측하려고
많은 방정식과, 순차적이고 반복적인 연산 (numerical and iterative)으로
비의 양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번번히, nonlinearilty에서 막히고 있고, 지금은 그걸 해결하지 못한채
대량의 숫자로 조합된 통계나, 덩치큰 모델링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접근방법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보거든요..

자연현상에 대한 접근방법이 단힌계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나 합니다.
첫 질문이라 거칠지만, 기회가 된다면 더 낳은 접근법으로 나아가고 싶습니다.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죠. 고대로 부터 비가 내리는 양에 대한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었는데요. 동렬님은, 지구의 물순환에 대한 어떤 관찰자의 입장을 갖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49
2167 세계일주를 앞두고.. 지난 8년의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1 강원닮아 2024-06-02 256
2166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174
2165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291
2164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167
216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80
2162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435
2161 chatGPT 옆그레이드 chow 2024-05-15 458
2160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543
2159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560
215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175
2157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279
2156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32
215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226
2154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485
2153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451
2152 나눗셈과 미분의 차이 chow 2024-04-14 489
2151 미분의 비밀 image chow 2024-04-12 693
215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4-04-10 342
2149 촛불동지께 image 수원나그네 2024-04-09 543
2148 나는 오늘도 교사를 한다(문제행동 학생 이야기) 이상우 2024-04-04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