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8756 vote 0 2006.05.06 (07:16:51)

미국에서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좁게는, 비내리는 것에 대해서 공부하는데요.
서양의 공학에서는 이 비내리는걸 예측하려고
많은 방정식과, 순차적이고 반복적인 연산 (numerical and iterative)으로
비의 양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번번히, nonlinearilty에서 막히고 있고, 지금은 그걸 해결하지 못한채
대량의 숫자로 조합된 통계나, 덩치큰 모델링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접근방법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보거든요..

자연현상에 대한 접근방법이 단힌계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나 합니다.
첫 질문이라 거칠지만, 기회가 된다면 더 낳은 접근법으로 나아가고 싶습니다.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죠. 고대로 부터 비가 내리는 양에 대한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었는데요. 동렬님은, 지구의 물순환에 대한 어떤 관찰자의 입장을 갖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87
27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34
26 인간교육 systema 2024-03-01 596
25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561
24 촛불동지께 image 수원나그네 2024-04-09 545
23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543
22 시민의회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4-02-19 536
21 [사진포함] 함께 걸을까요! 조선일보처벌시민걷기대회 image 수원나그네 2024-03-11 526
2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4-02-14 514
19 나눗셈과 미분의 차이 chow 2024-04-14 492
18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487
17 나는 오늘도 교사를 한다(문제행동 학생 이야기) 이상우 2024-04-04 469
16 chatGPT 옆그레이드 chow 2024-05-15 459
15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451
14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437
1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2-28 428
12 상부구조와 동원력 SimplyRed 2024-04-02 398
1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3-13 371
1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4-04-10 342
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4-03-27 330
8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