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370 vote 0 2016.01.15 (15:39:37)

     

    절대선은 있어도 절대악은 없다. 절대빛은 있어도 절대어둠은 없다. 빛은 실체가 있으나 어둠은 상대적인 비교로만 존재한다. 어둠과 악과 보수는 상대적으로만 존재한다. 선은 일시적으로 이길 수도 있고 장기적으로 이길 수도 있으나 악은 일시적인 승리만 가능하다. 선은 먼저 기술을 걸 수도 있고 상대의 공격을 기다렸다 되치기를 할 수도 있으나 악은 되치기만 할 수 있다. 선은 잇고 악은 끊는다. 선이 이으면 세력화 되고 세력화 되면 낳는다. 악이 끊으면 나라도 죽고 악 자신도 숙주와의 연결이 끊어져서 죽는다. 단지 선의 실패가 있을 뿐 악의 승리는 없다. 악이 승리한 나라는 망해서 역사의 기록이 삭제되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악의 승리는 선의 진정한 승리를 강조하는 용도로만 기록된다. [생각의 정석 33회]


    우리는 세상을 대칭으로 이해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에너지 작용의 완벽한 대칭은 성립될 수 없다. 대칭은 회전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부구조와 연결된 회전축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최초에 회전을 유발한 에너지가 어딘가에 잠복해 있다가 회전이 멈추려고 할 때 개입하여 대칭을 깨뜨린다. 에너지 영역에서 대칭은 잠정적인 단절상태이며 결국 연결이 회복되어 비대칭으로 돌아간다.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절대성이다. 선은 연결하고 악은 끊는다. 선은 연결되므로 다음 단계가 있지만 악은 끊어지므로 다음 단계가 없다. 팽이가 끊어져서 돌지만 지구와 중력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가 끊어져서 돌지만 브러시로 전원과 연결된다. 자동차가 끊어져서 가지만 바퀴는 지면과 연결된다. 그 연결부위가 개입하여 악의 승리를 무효화 시킨다. 진리는 공정한 심판자가 아니다. 진리는 악의 승리를 지워버리는 불공정한 심판자다. 악은 선의 승리를 위한 연습에 불과하다. 


[레벨:30]솔숲길

2016.01.15 (15:49:38)

[생각의 정석 33회] 세월호의 침몰, 리더의 침묵

http://gujoron.com/xe/46520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5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75
2872 조절장치가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5-12-03 5386
2871 나머지 이야기 2 김동렬 2016-07-12 5377
» 사랑의 정석 33, 악은 없다 1 김동렬 2016-01-15 5370
2869 논어 9, 깨달음은 일이관지다 image 1 김동렬 2016-02-05 5370
2868 내친 김에 노자 도덕경 1편 image 김동렬 2016-02-04 5364
2867 예능프로의 포맷구조 image 김동렬 2015-11-30 5361
2866 사랑 93, 예수의 언어 image 2 김동렬 2016-04-08 5354
2865 심상정의 몰락이유 김동렬 2022-01-13 5349
2864 논어 6,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02 5345
2863 사랑 75, 네오보다는 모피어스 image 1 김동렬 2016-03-16 5343
2862 사랑 114, 두려움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6-02 5339
2861 깨달음의 알파고 image 김동렬 2016-03-14 5326
2860 진짜 역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319
2859 수평에서 수직으로 도약하라 image 김동렬 2015-11-27 5319
2858 사랑 71, 빽이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10 5318
2857 대칭에서 모형으로 올라서라 image 김동렬 2015-11-25 5316
2856 가장자리가 중심이다 image 1 김동렬 2015-12-09 5306
2855 사랑 78, 구조를 쓰면 쉽다 image 1 김동렬 2016-03-21 5305
2854 말을 똑바로 하면 깨달음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2-26 5305
2853 관점 관계 메커니즘 역설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5-12-07 5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