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예전 영화코너에서 에일리언을 이야기하셨는데요.
가족으로 인한 고통과 그 복원을 위한 고통감수라고 잘 표현해주셨더군요 ^^

저도 소위 적령기가 다가오다 보니,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항복하듯이 결혼해서는, 혹, 정말 사랑했다고 해도
한사람과의 결혼제도라는 것 자체가 인간의 개개인의 자유에 부합되는것인지
의문입니다.

동렬님 자신도, 일종의 생계연합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늘 말씀하신 한국의 지독한 가족주의와도 배치가 되는 일이라, 선뜻 나서기가 힘드는군요.
동렬님의 개인적인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습니다.
그럼 건필하십쇼.

파이팅~

김동렬

2006.01.17 (16:10:19)

제게 있어서는 삶의 비밀을 풀어보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지요. 결혼이라는 것이 '완전한 사랑'에 방해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성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삶의 어떤 극점을 밟아보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허용된 삶의 바운더리의 크기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모험도 해볼만한 거지요.

제 생각엔 이후로도 결혼제도는 유지되겠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상당히 변할 것이며 대략 6 대 4 비율로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거나를 택할 걸로 봅니다. 6은 결혼, 2는 결혼에 가까운 동거형태, 2는 독신으로 다양화 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05
206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547
2065 인류가 가진 단 하나의 지식 1 chow 2023-02-12 2738
2064 주최자의 관점 image SimplyRed 2023-02-10 2213
2063 구조론 동인 불금 번개 모임 image 4 이상우 2023-02-09 2242
206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09 1887
2061 변이의 그나마 적절한 설명 1 chow 2023-02-01 2212
2060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514
2059 파인만 별 거 없네, 무한과 재규격화 6 chow 2023-01-29 2249
205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25 1550
2057 박찬호와 김병현의 차이점 dksnow 2023-01-25 1814
2056 일원론의 충격 1 systema 2023-01-18 1815
2055 기술에 대해 정확히 말하기 dksnow 2023-01-16 1005
2054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35
205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24
2052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11 889
2051 수학의 기원과, 아랍 (페르시아)의 역할 image dksnow 2023-01-07 1403
2050 법과 현실의 특성에서 본 괴리, 불확정성원리 SimplyRed 2022-12-31 1602
204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28 1556
2048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14 1964
2047 2002-2022 dksnow 2022-12-12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