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예전 영화코너에서 에일리언을 이야기하셨는데요.
가족으로 인한 고통과 그 복원을 위한 고통감수라고 잘 표현해주셨더군요 ^^

저도 소위 적령기가 다가오다 보니,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항복하듯이 결혼해서는, 혹, 정말 사랑했다고 해도
한사람과의 결혼제도라는 것 자체가 인간의 개개인의 자유에 부합되는것인지
의문입니다.

동렬님 자신도, 일종의 생계연합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늘 말씀하신 한국의 지독한 가족주의와도 배치가 되는 일이라, 선뜻 나서기가 힘드는군요.
동렬님의 개인적인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습니다.
그럼 건필하십쇼.

파이팅~

김동렬

2006.01.17 (16:10:19)

제게 있어서는 삶의 비밀을 풀어보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지요. 결혼이라는 것이 '완전한 사랑'에 방해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성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삶의 어떤 극점을 밟아보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허용된 삶의 바운더리의 크기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모험도 해볼만한 거지요.

제 생각엔 이후로도 결혼제도는 유지되겠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상당히 변할 것이며 대략 6 대 4 비율로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거나를 택할 걸로 봅니다. 6은 결혼, 2는 결혼에 가까운 동거형태, 2는 독신으로 다양화 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16
2095 노동운동의 문제 image 1 chowchow 2022-05-01 1201
2094 확률은 바꿀 수 있다. 현강 2020-08-13 1215
2093 구조론 목요모임(3층) image 오리 2020-05-28 1220
2092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8-13 1220
2091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224
2090 성립의 조건은 상호이다. 1 현강 2020-08-04 1237
2089 원인과 결과 약속 2020-07-17 1240
2088 다 같은 라인이 아니다 현강 2020-07-25 1242
2087 공부 안해도 되는 시대의 공부 이상우 2022-04-20 1250
2086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30 1251
2085 전국토를 정원으로 만들자 ahmoo 2020-08-19 1251
2084 통제가능성의 획득과 통제필요성의 소실 현강 2020-01-04 1252
2083 정보냐 밀도차냐 현강 2020-08-10 1256
2082 방향이냐 속도냐 systema 2020-05-01 1258
2081 생명로드 30 -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1-02 1258
2080 생명로드57- 원전위험공익제보센터 고문변호사 초빙 타겟기부 image 4 수원나그네 2020-04-28 1258
2079 별개의 사건 현강 2020-08-06 1276
2078 학문에 대한 해석 2 오민규 2020-06-27 1278
2077 라인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현강 2020-07-26 1278
2076 확률과 구조론 다음 2020-08-10 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