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90 vote 0 2016.01.13 (18:52:33)

    

   

    자아의 문제 – 나는 누구인가?


    ◎ 소승답은 노력에 있다.
    개인의 문제를 해결한다. 예수의 원죄나 석가의 고苦와 같이 현실을 부정적으로 보고 대안을 모색한다. 개체의 결함을 발견하고 답을 찾아 결함을 메운다. 개인의 노력과 수행을 강조한다. 단기전을 잘 수행한다. 세법술의 술術에 해당한다. 에너지를 투입한다. 복제≫조합≫연출의 연출에 집중한다. 예수의 사랑, 석가의 자비, 노자의 양생술.


    ◎ 대승답은 통합에 있다.
    집단의 문제를 해결한다. 현실을 긍정적으로 보고 사회적 상호작용 높여 에너지를 얻는 데서 답을 찾는다. 집단의 시스템에서 효율을 찾는다. 집단의 팀플레이를 강조한다. 장기전을 수행한다. 세법술의 법法에 해당한다. 에너지를 몰아준다. 복제≫조합≫연출의 조합에 집중한다. 맹자의 의, 마르크스의 혁명.


    ◎ 돈오답은 만남에 있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가는 에너지 흐름을 따른다. 외부와의 대칭에 따른 계의 균일화로 에너지를 얻는다. 일의 기승전결 연결에서 얻어지는 기세를 강조한다. 운명적인 만남을 강조한다. 장기전으로 에너지를 얻어 단기전을 이긴다. 세법술의 세勢에 해당한다. 에너지를 가져온다. 복제≫조합≫연출의 복제에 해당한다. 예술가의 영감.



    일의 문제 – 상황을 어떻게 통제하는가?


    ◎ 허무주의 다원론 - 상부구조의 가능성에 꽂혔다. 즉흥적인 감을 따른다. 자유주의, 히피, 실존주의, 낭만주의, 불확정성, 상대론, 무정부주의, 불가지론, 현상, 신비주의, 부족주의, 손자병법, 이유극강.  


    ◎ 권위주의 이원론 - 하부구조의 파워에 꽂혔다. 매뉴얼을 바꾸지 않는다. 권위주의, 전체주의, 실용주의, 결정론, 도덕주의, 절대론, 차별주의, 분리주의, 보수주의, 법가사상, 현실주의, 점수, 본질, 고전주의, 약육강식, 이기이원론


    ◎ 완전성의 일원론 -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연동시켜 에너지흐름으로 본다. 매뉴얼을 잘 만들고 부단히 업그레이드 한다. 인상주의, 민주주의, 진보주의, 합리주의, 이상주의, 로마교범, 돈오, 중용, 변증법, 군자, 소통, 기일원론


    ###


    대략적인 경향성의 분류다. 같은 개념이라도 고수는 일원론으로 보고, 하수는 이원론으로 보고, 젊은이는 다원론으로 보므로 딱 이렇게 칸이 나눠지지는 않는다. 젊은이는 모르므로 입장을 정하지 않으려 하니 다원론이 되고, 기성세대는 안 되면 신참을 지배하려고 하므로 이원론이 되고, 고수는 답을 알기 때문에 일원론이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1.13 (19:45:57)

감사히 읽었습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027
3444 구조론의 개요 image 김동렬 2016-03-19 5165
3443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104
3442 논어는 일높이 교육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3-17 5466
3441 사랑 76, 스티브 잡스의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3-17 5171
3440 사랑 75, 네오보다는 모피어스 image 1 김동렬 2016-03-16 5257
3439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2 김동렬 2016-03-16 28766
3438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804
3437 깨달음의 알파고 image 김동렬 2016-03-14 5248
3436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726
3435 사랑 72, 혼돈에서 질서로 image 1 김동렬 2016-03-11 5184
3434 사랑 71, 빽이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10 5253
3433 깨달음의 시험문제 image 김동렬 2016-03-09 5194
3432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16
3431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12
3430 망둥이와 꼴뚜기 image 4 김동렬 2016-03-07 6451
3429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099
3428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082
3427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785
3426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016
3425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