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26 vote 0 2015.12.14 (16:41:20)

98.jpg

 


   
    수평으로 벌린 다음 수직으로 제압하라. 이것이 구조론의 출발점이다. 처음 모를 때는 이것저것 수단을 가리지 않고 다 시도해 보므로 다원론이다. 둘을 대칭시켜 수평으로 벌리면 급소가 드러나므로 통제가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노출된다. 이에 다원론에서 2원론으로 발전한다. 수직으로 발전해야 완벽하다. 다시 일원론으로 돌아가야 한다. 대칭된 둘이 따로 놀면 안 되고 한 줄에 꿰어져야 한다. 수평구조는 수직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2층으로 층수가 올라가야 한다. 에너지를 태우면 된다. 


99.jpg  


    하나는 통제할 수 없다. 사춘기 청소년처럼 말을 안 듣는다. 짝이 필요하다. 대칭을 만들어 둘을 경쟁시키면 말을 듣기 시작한다. 그러나 역시 불완전하다. 둘이 싸운다. 혹은 헤어진다. 둘을 수직적 일의 구조에 태우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외부에서 들어가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계는 완벽하게 제어된다. 수평적 대칭구조를 수직적 대칭구조로 바꾼 것이 모래시계다. 중력이라는 에너지가 투입되어 일하고 있다. 일의 결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말을 듣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12.14 (22:01:29)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아무리 말안듣는 후임이라도 자신의 후임이 들어오면 고참 말을 잘 듣더군요. 사회도 마찬가지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5 (17:51:46)

일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내일 때는 자기 밑으로 일이 이어지지 않고 자기 선에서 끝나지요.

무슨 일이든 끝단에 위치해 있으면 축제 다음 날의 청소부처럼 졸라 짜증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9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618
3323 사랑의 정석 31, 이기는 팀에 들기 1 김동렬 2016-01-13 4911
3322 공자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16-01-12 5883
332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861
3320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596
3319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371
3318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637
3317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5989
3316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58
3315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114
3314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4777
3313 구조론 사전 1 김동렬 2016-01-06 4731
3312 사랑의 정석 27, 강자의 자유 1 김동렬 2016-01-06 5033
3311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4769
3310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4984
3309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115
3308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4689
3307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69
3306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4800
3305 사랑의 정석 23회, 길한 점괘는? 1 김동렬 2015-12-31 4747
3304 사랑의 정석 22회 1 김동렬 2015-12-30 4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