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26 vote 0 2015.12.10 (17:32:30)

     

    관점이 있다면 생각할 수 있습니다. 관점이 없다면 먼저 관점을 지어야 합니다. 생각은 운전과 같습니다. 하지만 다들 차도 없이 운전하겠다고 덤비는 판입니다. 관점 없이 생각할 수 없습니다. 생각하기 전에 먼저 생각의 집부터 지어야 합니다. [생각의 정석 3회]


    관점은 나와 타자의 구분이다. 황당한 것은 ‘친구로서 충고하는데 말야.’ 하는 것이다. 어색한 말이다. 친구라면 충고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나라를 ‘내나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나라가 네 거냐?’ 천국 보내준다고 말하면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남의 동네를 왜 가냐? 미쳤구만.’ 가장 한심한 것은 ‘다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이다.’라는 표현이다. ‘너’라고 말하는 순간 관계는 파탄이다. 나와 타자 사이에는 하늘과 땅 만큼의 거리가 있다. 아찔하다. 세상은 내 것이 아니다. 나 역시 내 것이 아니다. 몸도 마음도 내 것이 아니며 오직 나의 의사결정만이 진실하다. 세상의 맞은 편에서는 결코 세상을 볼 수 없다. 자동차의 반대편에서는 결코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다.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내 눈이 바라보는 방향을 일치시켜야 한다. 자동차를 내 몸의 일부로 여겨야 운전할 수 있다.



DSC01488.JPG


    이런 말은 액면 그대로 들으면 안 됩니다. '친구한테 충고하면 안 되는구나.' <- 이건 아니지요. 깊이 생각하시길. 


[레벨:30]솔숲길

2015.12.10 (20:21:31)

[생각의 정석 3회] 로또에 당첨되고도 망하지 않는 방법

http://gujoron.com/xe/371573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12:57:42)

친구사이에 충고라
자세한 해설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1 (13:25:59)

뭘 보고 친구라고 하는지 모르겠으나

대신 죽어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친구가 아니지요. 


동창회 명부 뒤져서 일일이 전화하고 다니는 넘은 

친한척 엉기곤 하지만 친구가 아닙니다.


물론 친구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안면만 있으면 친구라고 해놨겠지만 


구조론은 진지한 이야기 하는 곳입니다.

충고해야할 상황이면 이미 거리는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진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5.12.11 (20:05:32)

친구가 뭔지 진작에 알았으면, 인생을 덜 낭비했을 텐데...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0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23
2692 사랑의 정석 38, 깨달음은 1인칭 image 1 김동렬 2016-01-22 4940
2691 사랑의 정석 7회 1 김동렬 2015-12-08 4939
2690 사랑 90, 사실주의가 답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4-05 4938
2689 공자 14, 창세기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6-02-12 4938
2688 사랑의 정석 20회 1 김동렬 2015-12-28 4938
2687 주체의 관점을 획득하라 1 김동렬 2019-06-26 4936
» 사랑의 정석 9회 image 4 김동렬 2015-12-10 4926
2685 일본몰락 국힘추락 4 김동렬 2021-08-10 4925
2684 척력은 대칭이다 1 김동렬 2019-04-12 4925
2683 세상은 에너지의 우위로 작동한다 image 김동렬 2015-11-08 4924
2682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923
2681 사랑의 정석 8회 image 1 김동렬 2015-12-09 4922
2680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920
2679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916
2678 정신 못 차린 한국인들 2 김동렬 2024-02-15 4915
2677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915
2676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913
2675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906
2674 이언주의 귀환 김동렬 2024-01-23 4905
2673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4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