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12 vote 0 2015.12.07 (19:52:28)

     

    진보주의자는 낙관주의자여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고 방해자를 제거하되 미래를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으로 낙관해야 한다. 사물을 부정하되 사건을 긍정해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는 자본과 물질과 권력과 폭력을 부정하되 사람의 마음을 합치는 역사와 진리와 진보와 문명을 긍정해야 한다. 긍정과 낙관이야말로 진보의 답이다. 단 사건의 긍정, 미래의 낙관이어야 한다. 사물을 긍정하는 자는 물질의 노예가 된다. 현금을 부정하고 대신 신용을 긍정하라. 오늘을 낙관하는 자는 미래를 비관하게 된다. 오늘을 비관하고 대신 미래를 낙관하라. 개인을 부정하고 대신 팀을 설계하라. 기어이 상부구조로 올라서라. [생각의 정석 10회]


    얽힌 실은 한 방향으로 풀어야 한다. 이쪽을 풀었다가 저쪽을 풀었다가 하며 변덕을 부리면 더 엉키고 만다. 퍼즐을 맞추어도 모서리부터 시작해서 한 방향으로 맞춰가야 한다. 바둑을 두어도 귀에서 중앙으로 가는 한 방향이라야 한다. 그 방향은 진보의 방향, 미래의 방향, 긍정의 방향, 낙관의 방향이어야 한다.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있다면 누가 돈을 더 쓰든가, 혹은 마음을 더 쓰든가, 혹은 공간을 더 쓰든가, 혹은 시간을 더 쓰든가 반드시 무엇을 더 써야 풀린다. 그렇게 풀어가면서 무언가를 더 쓰다보면 결국 세상은 진보해 있다. 지식인의 냉소주의는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점에서 실패다. 지식인의 비관주의는 단기전술에 집착하다가 장기전략을 잃는 실패다. 상대의 힘에 의존하는 전술로는 안 된다. 살을 얻다가 뼈를 내주는 결과로 된다. 큰 힘을 쓰는 집단의 시스템으로도 안 된다. 큰 힘은 큰 급소를 만들어 큰 위험을 낳으니 큰 리스크로 돌아온다. 개인전술도 안 되고 팀전술도 안 된다면 답은 기세에 있다. 작은 개인에서 큰 세력으로 나아가며 흐름을 타는 기세가 진보의 유일한 답이므로 진보는 긍정주의에 낙관주의일 수 밖에 없다. 개인의 술로 안 되고 집단의 법으로 안 되며 개인에서 집단으로 나아가는 세가 진보의 유일한 정답이기에 긍정과 낙관 밖에 답이 없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5.12.08 (11:22:38)

생각의 정석 10회 연애빈부격차 

http://gujoron.com/xe/38562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4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07
2632 찰스와 영국 원숭이들 1 김동렬 2023-05-07 4761
2631 사건의 철학 1 김동렬 2019-04-29 4759
2630 쌍방향 통제는 없다 1 김동렬 2019-03-28 4755
2629 사랑의 정석 56, 길 끝에서 만난다. image 1 김동렬 2016-02-18 4754
2628 박원순과 살인 기레기들 7 김동렬 2020-07-10 4753
2627 사랑의 정석 52, 고빗길 넘어가기 image 1 김동렬 2016-02-12 4752
2626 국힘당이 망가진 이유 1 김동렬 2024-02-07 4750
2625 이준석의 몰락 김동렬 2022-08-13 4749
2624 이낙연 배후는 동교동? 5 김동렬 2021-01-02 4749
2623 사랑의 정석 49, 도망치지 말라 image 2 김동렬 2016-02-05 4747
2622 사랑의 정석 40, 일이 깨달음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1-26 4742
2621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김동렬 2021-03-10 4740
2620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4739
2619 백래시와 구조손실 1 김동렬 2020-10-15 4738
2618 최동훈 영화는 영화가 아니다. 김동렬 2024-01-11 4735
2617 사랑의 정석 19회 1 김동렬 2015-12-26 4733
2616 정준영은 왜 그랬을까? 2 김동렬 2019-03-12 4729
2615 사랑의 정석 48, 진보나무는 자란다 image 1 김동렬 2016-02-04 4724
2614 이재명 윤석열 그리고 강한국민 1 김동렬 2021-06-16 4721
2613 질을 이해하라 4 김동렬 2018-09-12 4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