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85 vote 0 2015.11.11 (20:39:49)

https://storyfunding.daum.net/episode/2092


<- 다음 스토리 펀딩



z12345.jpg

 


       


    이 내용은 구조론의 마이너스 원리와 통합니다. 

    어떤 것을 원하면 그 어떤 것보다 한 단계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그것이 있는 위치에서 그것을 잡으려 한다면 결코 그것을 잡을 수 없습니다.

    세상은 흐르는 물과 같아서 반드시 상류에서 조치하고 하류에서 잡아야 합니다. 

    포지션을 바꾸지 않고 거기서 수단을 써서 거기서 잡는 일은 없습니다. 






z123445556.jpg


 

     그런데 이거.. 세상이 바뀌지 않는 것은 

     세상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세상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과연 그럴까요? 천만에.

     왜 세상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세상을 지배하는가 하는 

 

     두 번째 질문이 자동으로 따라붙는 대답은 하는게 아닙니다.

     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은 원래 상대방이 토를 다는 대답은 안 합니다. 


     세상이 바뀌지 않는 진짜 이유는 신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생산력이 생산관계를 지배합니다.


     물질의 생산력은 향상되었으나 

     정신의 생산력은 여전히 구석기 수준입니다.


     철학이 망했다는 거죠.

     인간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돈이나 성공이나 행복이나 이런게 아닙니다.


     좋은 친구입니다.

     좋은 친구가 없기 때문에 인간이 불행한 것입니다.


     왜 좋은 친구가 없을까요?

     철학을 안 배워서 그렇습니다.


     교회 가서 친구 사귀는게 더 쉽습니다.

     그래서 세상이 이꼴입니다.


     교회보다 더 경쟁력있는 친구사귀기 시스템은?

     그게 철학입니다. 


     근데 철학이 망해서 인간의 친구 사귀는 기술은 꽝이고

     기술이 없어서 즉 정신의 생산력이 딸려서 


     정신의 생산관계가 바뀌지 않는 것입니다.

     희망은 있습니다.


     스마트 시대.. 친구사귀기 저변이 넓어졌다는 거죠.

     그 시대에 맞는, 종교를 물리칠 철학을 이제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레벨:10]다원이

2015.11.12 (00:12:50)

시워~ㄴ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슈에

2015.11.13 (00:22:18)

철학이 없는 세상에 구조론이 있어줘서 천만다행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628
1399 한국인, 당신들은 누구인가? 1 김동렬 2015-10-16 4288
1398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4288
1397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4288
1396 진짜 쉬운 문제 image 5 김동렬 2013-01-12 4287
» 맹자의 가르침 image 2 김동렬 2015-11-11 4285
1394 김우중이 왜 죽일놈인가? 2 김동렬 2014-08-29 4284
1393 재미있는 사건 2 김동렬 2015-08-27 4283
1392 김웅용의 도전 2 김동렬 2017-04-08 4281
1391 당당한 눈빛을 물려주라 - 제민칼럼 12 ahmoo 2013-06-27 4274
1390 천경자의 실패 image 2 김동렬 2014-08-19 4273
1389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4270
1388 제국의 위안부, 무엇이 문제인가? 1 김동렬 2016-01-13 4263
1387 왜,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인가? 2 이성광 2013-01-22 4263
1386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61
1385 생각의 정석 123회 1부 당선자 소식 image 5 오세 2016-04-16 4260
1384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2) image 1 Beholder 2011-07-09 4250
1383 지하철의 패러독스 image 11 김동렬 2013-02-19 4247
1382 아타리 쇼크 김동렬 2015-09-07 4244
1381 구조론의 마음이론 (논문발췌) 3 오세 2010-11-12 4243
1380 지능은 확률에 의한다 chow 2022-07-16 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