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구조론은 일원론이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몸이니 마음이니 하며 둘로 나누는건 다 허당으로 칩니다.
배가 아픈 이유는 내부가 허하기 때문이고 내부가 허한 이유는 내부에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고

에너지가 없는 이유는 구조론적으로 모든 에너지는 외부에서 유도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즉 밖에서 에너지를 유도하는 타자와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설정이 잘못되었고 그것이 마음의 문제로 나타나는 법이며

그게 해결이 안 되는 자들은 정신의 5단계 구조 중에서 가장 낮은 단계를 충족하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가장 쉬운 목표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본능의 충족이며 본능을 총족하는 쉬운 방법은 돈을 버는 것입니다.
즉 몸의 방법은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중 가장 낮은 방법이 되는 것이며

그것은 몸따로 마음따로가 아니라 마음의 말단부가 몸이기 때문입니다.
열등감 피해의식 이런 이야기는 주로 논리가 궁한 사람들이 쓰는 단어에요."

몸마음의 관계 설정 문제를 이른바 '난제Hard Problem'이라 하여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골을 싸매왔소.
구조론의 일원론적 관점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인데, 설마 '뇌'로 대동단결하겠다는 과학자들식의 일원론은 아닐테고, 좀 더 자세히 듣고 싶소.
마음의 말단부가 몸이라는 논리가 신선하게 느껴지오. 정신-의식-의지-의사-감정의 마지막 '감정' 부분이 몸이라는 것인지, 암튼 좀 더 자세히 풀어주셨으면 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46
177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80
176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81
175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301
174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28
173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28
172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30
171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35
170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47
16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58
168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73
167 척력. 2 아제 2010-07-14 7373
166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90
165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21
16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43
163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47
162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54
161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58
160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472
159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479
158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