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36 vote 0 2015.10.25 (22:49:10)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필요로 한다. 세상이 개별적으로 존재한다면 그 하나하나를 각각 상대해주면 된다. 개는 개로 상대해주면 되고 고양이는 고양이로 대접해주면 된다. 그런데 이것들이 모여서 팀을 이루고 있다면 만만치 않다. 그래서 깨달음이다.


    상대가 개인기로 나오면 나 역시 개인기로 막으면 된다. 상대가 팀으로 나오면 나 역시 팀으로 막아야 한다. 세상은 팀으로 나온다. 그런데 나는 혼자다. 혼자서 어떻게 팀을 상대할 수 있지? 이기는 팀에 들어야 한다. 팀플레이를 훈련하여 진리의 팀에 들 자격을 갖추면 된다.


    팀은 포메이션을 쓴다. 포메이션은 모형이다. 그 모형은 강剛이 아니라 유柔의 모형이다. 개인기로 돌파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패스로 협력플레이를 한다. 플랜 A가 깨지면 플랜 B가 뒤를 받친다. 그 모형은 고착된 모형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플랜을 바꾸는 살아있는 모형이다. 


    그 모형이 우주에 있으니 진리가 되고, 사회에 있으니 진보가 되고, 예술에 있으니 미학이 되고, 인간에 있으니 언어가 되고, 내면에 있으니 마음이 된다. 그러므로 깨달음은 진리와 진보와 미학과 언어와 마음을 깨닫는 것이다. 세상의 편에 서서 팀원의 자격을 갖추게 한다.


    ◎ 우주의 진리.. 구조
    ◎ 사회의 진보.. 복제
    ◎ 예술의 미학.. 의미
    ◎ 인간의 언어.. 관점
    ◎ 내면의 마음.. 존엄


    우주가 쓰는 진리의 모형은 구조다. 사회가 쓰는 진보의 모형은 복제다. 예술이 쓰는 미학의 모형은 의미다. 인간이 쓰는 언어의 모형은 관점이다. 내면이 쓰는 마음의 모형은 존엄이다. 당신은 이 다섯가지 모형을 익혀야 한다. 왜냐하면 당신은 이미 모형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그 모형은 팀플레이가 안 되는 낡은 모형이다. 우리는 선악구도처럼 개인단위에서 기능하는 모형을 쓰고 있다. 동료와 손발이 안 맞아서 좌절하게 된다. 선의를 가지고 타인을 위하여 좋은 일을 했는데도 결과가 나쁘다. 왜? 위하였기 때문이다. 위하면 타인의 권리를 침범한다.


    타인에게 좋은 일을 타인이 주도하게 해야 한다. 실익은 타인에게 주고 명성은 당신이 챙긴다면 당신의 은혜를 입은 타인은 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은밀히 보복할 마음을 품는다. 좋은 것이 결코 좋은 것이 아니다. 팀을 깨뜨리기 때문이다. 숨은 권력관계가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깨달을 일이다. 당신은 세상의 편인가? 당신은 세상의 편에서 팀에 들었는가? 당신은 진리의 팀에서 팀플레이를 익혔는가? 그렇다면 남을 돕지 말고 팀을 도와야 한다. 자기를 이롭게 함은 나쁘고 타인을 이롭게 함은 도리어 위태롭다. 팀을 이롭게 해야 진실하다.


    혼자 깨닫는 소승의 길을 버리고 팀을 일으키는 대승의 길을 가야 한다.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한 덩어리로 있다. 당신이 누군가를 이롭게 할 때 그 연결은 끊어진다. 자신을 이롭게 할 때 가족이 등을 돌릴 것이며, 가족을 이롭게 할 때 이웃이 등을 돌린다. 함께 가야만 한다.


    천하를 이롭게 해야 한다. 그것은 자신을 위해서도 혹은 타인을 위해서도 이득을 수확하지 않는 것이다. 그대가 행복이라는 이득을 수확하지 않을 때 마음의 존엄은 얻어진다. 사실이라는 이득을 버릴 때 언어의 관점은 얻어진다. 승리라는 이득을 버릴 때 미학의 의미를 얻는다.


    그대는 세상을 진보시키려 하지만 도리어 역풍을 맞는다. 불완전했기 때문이다. 성급한 진보는 실패한다. 작더라도 완전한 하나를 완성시키고 그것을 대량으로 복제해야 한다. 그대가 존재를 확정하려 들수록 도리어 진리는 희미해진다. 구조는 전시용이 아니라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답은 개인이 아니라 팀이다. 팀을 만드는 것은 구조의 진리다. 팀이 이기는 것은 복제에 의한 진보다. 팀이 결정하는 것은 의미의 미학이다. 팀원이 되려는 그대에게 필요한 것은 관점이 있는 언어다. 그대가 팀에 들어서 얻어야 할 것은 마음의 존엄이다. 그 팀은 세상의 팀이다.     


DSC01488.JPG    


    마음만으로 안 되고 테크닉이 있어야 합니다. 당신의 선의로 선을 이룰 수 없고 당신의 노력으로 성공을 이룰 수 없습니다. 그런 세상이 되었습니다. 당신이 어떻게 하든 당신이 하므로 실패합니다. 당신은 뒤로 빠지고 대신 팀이 하고, 인류가 하고, 세상이 하고, 진리가 해야 성공합니다. 당신은 행복도, 권세도, 명성도 그 무엇도 버려야 합니다. 진리의 팀에 들어 함께 가는 것만 못합니다. 


[레벨:11]큰바위

2015.10.26 (06:07:27)

짧든지 짧지 않든지, 

깨닫기만 하더라도 좋기요. 



[레벨:12]비랑가

2015.11.04 (10:51:40)

워크샵의 중요성! 절대 나서면 안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03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728
2743 균일 불균일 다시 균일 김동렬 2015-11-25 4983
2742 언어는 맥락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12-18 4982
2741 공자 12, 백이도 숙제를 image 김동렬 2016-02-09 4981
2740 깨달음 스무고개 image 1 김동렬 2015-12-16 4980
2739 사랑의 정석 47, 인생의 팀플레이 image 1 김동렬 2016-02-03 4973
2738 공자 19, 어울리되 묶이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23 4971
2737 사랑의 정석 54, 죄는 영원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6 4971
2736 사랑의 정석 50, 여행자의 얼굴 image 1 김동렬 2016-02-06 4971
2735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69
2734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4968
2733 사랑의 정석 57, 이상주의자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2-19 4967
2732 믿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0-27 4966
2731 우주의 절대원리 2 김동렬 2020-01-24 4965
2730 어린 여자에게 끌리는 진짜 이유 1 김동렬 2021-01-16 4964
2729 양자화와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12-24 4964
2728 솔로의 비애 1 김동렬 2019-07-29 4961
2727 완전하면 예측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03-28 4959
2726 사랑의 정석 12회 5 김동렬 2015-12-15 4955
2725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4955
2724 깨달음의 전말 image 김동렬 2016-02-11 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