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44 vote 0 2015.09.01 (17:10:43)

     

    구조론의 차원


    구조론의 차원은 다섯이 있다. 수학에서는 본래 1차원 선, 2차원 면, 3차원 입체가 알려져 있었는데 0차원 점과 4차원 시공복합체가 더해져서 어수선해졌다. 게다가 초끈이론에서 26차원까지 언급해서 피곤해졌다. 구분지가 다른 것을 억지로 추가해서 차원개념의 본의가 훼손되었다.


    존재한다는 것은 반응한다는 것이다. 반응한다는 것은 힘이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구조론의 차원은 어떤 하나의 존재를 성립시키려면, 곧 어떤 대상의 반응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몇 차례의 의사결정이 필요한가를 논한다. 5차례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존재는 5구조차원으로 되어 있다.


    지구에서는 위도와 경도만 알면 어디든 갈 수 있다. 자동차 운전자는 2개 차원으로 해결한다. 비행기 조종사는 고도를 알아야 한다. 3차원으로 해결된다. 그런데 우주공간이라면? 게다가 움직이고 있다면? 체크해야 할 매개변수가 추가된다. 지구에서는 지구중심을 매개변수로 쓰고 있다.


    1개의 차원은 자동으로 따라붙는다. 사실은 지구가 돌고 있다. 매개변수가 추가된다. 어떤 경우든 매개변수의 총합은 다섯이다. 거기서 추가되는 부분은 별도로 구분해야 한다. 전투기 조종사가 적기를 격추한다면 많은 매개변수를 고려한다. 풍향과 풍속까지 신경쓸 수 있다. 이는 논외다.


    공중전을 벌인다면 전투기의 움직임, 적기의 움직임, 미사일의 움직임으로 사건이 일단 셋이다. 구조론으로 보면 이는 소거되어야 할 중복과 혼잡이다. 1개 사건으로 보면 의사결정사항은 다섯 뿐이다. 여기에 관점의 차이가 있다. 구조론은 마이너스다. 에너지에 모두가 갖추어져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자연의 모습은 그 에너지의 원형에서 무언가 결핍된 것이다. 에너지가 A 방향으로 운동하고 있는데 관측자인 자신도 나란히 A 방향으로 따라가고 있다면? 에너지의 운동이라는 매개변수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매개변수 중에서 하나가 탈락하는 것이다.


    이렇듯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을 하나씩 제거하면 처음 밀도에서 입체와 각과 선과 점이 된다. 에너지는 중첩에 의해 작동한다. 중첩된 상태를 밀도로 놓고 여기서 하나씩 제거하면 차례로 입체, 각, 선, 점이 된다. 점 다음에는 중첩이 해소되므로 매개변수가 소멸한다. 0차원에서 끝이다.


   17.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3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415
2790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142
2789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142
2788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5141
2787 언어는 맥락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12-18 5139
2786 사랑 81, 나의 바깥과 사귀어두라 image 1 김동렬 2016-03-24 5139
2785 공자 11, 문을 통하지 않고 나가랴 image 1 김동렬 2016-02-08 5139
2784 구조의 눈 3 김동렬 2019-06-21 5136
2783 사랑의 정석 55, 나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133
2782 유일한 믿을 구석은 추론뿐 1 김동렬 2020-09-21 5129
2781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image 김동렬 2015-11-09 5128
2780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1-27 5127
2779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127
2778 공룡은 잘못 그려져 있다. image 9 김동렬 2023-03-17 5123
2777 효율의 증가와 감소 2 김동렬 2019-07-21 5119
2776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1 김동렬 2020-09-01 5118
2775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5111
2774 셈이 먼저냐 숫자가 먼저냐? 김동렬 2021-02-08 5109
2773 우주의 절대원리 2 김동렬 2020-01-24 5108
2772 사랑 64, 지성은 호랑이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096
2771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