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262 vote 0 2015.08.15 (22:47:16)

동이 트다. 동트다. 동틀녘.. 

이런 말은 많이 쓰는데 이라고 할까요? 


해가 꼭 동쪽에서 뜨는건 아니고 보통 동남향에서 뜨죠.

동쪽의 동과는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간접 관련은 있을 수 있는데 어쨌든 동쪽 방향의 의미는 아닙니다.

동서남북은 한자어고 순 우리말이 아니죠.


국어사전을 검색해 본 결과로는 아예 나오지 않네요.

국어사전 제작자가 뇌가 썩은 모양입니다. 


어원을 연구한 바로는 day, dawn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데

day의 어원은 물을 다리다dry, 다리미의 달,


또는 땡볕이라고 할 때의과 연결되는 단어인데 

아침이슬을 '말리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day라고 하면 원래는 정오부터 오후를 의미했습니다.

오전에는 이슬이 많아서 숲에 나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인도유럽어가 처음 형성된 코카서스 지역(흑해주변)을 중심으로 봐야 합니다. 

그쪽 지역은 덥기 때문에 서늘한 오후에 많이 활동합니다.


동東을 나무에 해가 걸린 모양이라고 하는데

아침에 나무에 해가 걸릴 이유가 없지요. 


해는 낮에 더 나무에 잘 걸립니다. 나무 밑에 누워서 지켜보세요.

말도 안 되는 개소리고 속束과 같은 뜻으로 묶는다는 뜻인데


'동이'를 밧줄로 결속한 형태입니다. dawn 발음을 따온 거지요. 

인도유럽어에서 한자어로 흘러들어간 단어도 꽤 있습니다. 


마지막 빙하기는 1만년 전에 완전히 끝났는데 

이후 촉발된 대규모 인구이동으로 카프카스 산맥 주변의 


여러 스탄지역에 살던 백인들이 인도와 유럽으로 각각 흩어졌고 

우리말의 문법은 알타이 지역에서 투르크인들의 이동경로를 따랐고


단어는 인도유럽어에서 흡수했으며 그때 묻어들어온 거죠. 

(엄마 아빠 이런 말은 인도에 여러 언어로 있음) 이후 한자어가 들어왔고.


투르크제어가 통하는 지역이 터키에서 신장위구르까지 5천킬로인데

인도유럽어가 발생한 파키스탄 북쪽에서 한반도까지는 4300킬로로 가깝습니다.


한국어는 투르크제어의 문법+인도유럽어의 단어로 보면 정확합니다. 

구글 번역기에 음가가 나오지 않는 아랍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를 검토하고 내린 결론.


투르크어는 어순이 우리와 같고 우리말과 같은 교착어인데 비슷한 단어는 하나도 없습니다.

특히 수사는 같은 단어가 하나도 없죠. 


물론 이런 비교는 단어가 아니라 어근을 분석해야 합니다.

영어는 하나둘셋 부터 원투쓰리가 비슷할 뿐 아니라 


라틴어로 보면 일곱 여덟 아홉도 비슷합니다.

그런데 옛날에는 숫자를 3진법 혹은 4진법을 썼기 때문에 


넷 이상 연속해서 같을 수는 없습니다.

한 타스를 열둘로 하는게 3*4로 3진법인 거죠. 


숫자를 셋까지 세던 수준에서 인도유럽어와 한국어가 갈라진 것입니다.


unus 한

duo 둘

tres 셋

quattuor

quinque

sex

septem 일고배 (열에서 셋뺌)

octo 여덜배 (열에서 둘뺌)

novem 아호배(열에서 한뺌)


원래는 숫자가 한둘셋 밖에 없었고 

789는 열에서 셋 둘 하나를 뺀다는 뜻입니다.

789에 다 ㅂ 발음이 붙어있는게 그 흔적이죠.

라틴어에도 그 흔적이 있고 영어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레벨:10]다원이

2015.08.16 (00:10:52)

이런 글을 읽을 때마다 전율을 느낍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id: 우야산인

2015.08.21 (10:52:55)

탁견입니다.^^&
인도유럽어라 한 그쪽 작명이 맘에 들진 않습니다.
인도 산스크리트어가 뿌리가 깊으니 자기쪽에 붙였다는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86
288 이번 주 목요 모임 공지 image 7 김동렬 2021-10-20 2992
287 노션을 이용한 구조론 백과사전화 3 mowl 2021-10-25 2418
286 목요 토론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1-10-27 2293
285 우리가 달의 한쪽 면만 보는 이유 7 이금재. 2021-10-28 3047
284 테슬라의 실패 이금재. 2021-11-02 2272
283 죄수의 딜레마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두가지 선택지와, 또다른 선택지 image mowl 2021-11-02 2118
282 구글 번역기가 잘 안 되는 이유 6 이금재. 2021-11-03 2947
281 목요 토론모임 공지 (3층) image 2 김동렬 2021-11-03 2337
280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번역하기 image 2 이금재. 2021-11-04 2877
279 네비게이션과 교육 이야기 이상우 2021-11-08 2398
278 목요모임 image 1 김동렬 2021-11-10 2260
277 학교폭력 해결방법에 대한 어느 방송국의 진단 이상우 2021-11-10 2292
276 작은 걸 내주고 큰 것을 얻는 메커니즘 2 이금재. 2021-11-12 2800
275 구조론 영어 사이트 제작 모임 7 오리 2021-11-15 2907
274 목요모임 25일 목요일 image 1 김동렬 2021-11-24 2071
273 대칭중첩 1 바람21 2021-12-03 2082
272 가속팽창과 시공간 우선순위 문제 1 바람21 2021-12-03 2381
271 현대 수학의 실패 (미적분과 확률) 이금재. 2021-12-10 2617
270 미적분과 통계 그리고 에너지 이금재. 2021-12-14 2462
269 수학적 직관주의에 대하여 1 오민규 2021-12-18 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