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34 vote 0 2015.07.30 (19:12:50)

우리말에 벼슬아치, 갖바치, 장사치

하는 식으로 '치'가 붙어서 직업을 나타내는 것은 

몽고의 지배를 받으면서 몽고어를 쓰게 된 결과임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그 치가 사실은 투르크어라는 거죠.

아래는 구글 번역으로 알아본 터키어입니다. 


https://translate.google.co.kr/?hl=ko&tab=wT <- 요걸 사용


요리사 aşçı

농부 çiftçi

일꾼 işçi

어부 balıkçı

마부 arabacı

 

직업에 가 붙어 있죠. 


üst (윗)

아래 alt

피리 boru

황금 altın(이건 신라 김알지와 연관된 말.. 알타이산이 투르크어로 황금산 이건 유명함)

쇠 demir(티무르, 테무친의 어원 철이라는 뜻)


1027%25C-1.jpg

그리스 사람의 얼굴을 한 케말


그런데 터키를 건국한 케말 파샤는 전형적인 그리스인 얼굴입니다.

터키 서부 아나톨리아 지역은 원래 그리스땅입니다.

2천년 전 부터 그리스인이 이오니아 지역에 살았죠.



2345.jpg



고대 그리스 영토

이것도 터키를 의식해서 좁혀놓은 것이고 

크레타 섬이나 아나톨리아 서부지역은 다 그리스입니다.


그런데 투르크족 침략자들이 오스만투르크를 건국하면서 

자기들을 몽골의 후계자라고 주장합니다.


무굴제국을 건국한 티무르도 (티무르는 아랍발음 원래는 테무르)

투르크어로 철 demir=티무르인데 


고려의 공민왕도 몽골 이름이 '바얀 테무르'고, 이지란의 개명 전 이름도 

쿠룬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 칭기즈 칸의 아명인 '테무친'은 '철인'

이라는 의미다. (위키백과)


티무르의 조상이 몽골의 왕녀와 결혼했다는 이유로 

자신을 몽골이라고 주장하고 

나중에 후손이 무굴제국을 만듭니다. 


즉 그리스인+이란족 혈통의 터키가 뜬금 투르크를 

국명으로 세우는 이유는 티무르가 몽골의 후계자라고 뻥쳤기 때문입니다.


티무르-1405.jpg


몽골제국=티무르제국=투르크 제국 이거죠.

무엇인가? 몽골어에 투르크어가 굉장히 많습니다. 

징기츠라는 호칭도 투르크어가 변질된 것이라고 하는데 

바다의 왕이라는 뜻이지만 몽고에는 바다가 없죠.

정확히는 바다처럼 위대한 왕.


결론은 그리스 반+아랍-이란반인 터키가 투르크메니스탄이 비웃도록

트루크족을 자처하는 이유는 혈통이 아니라 몽골+티무르=오스만으로 이어지는 

투르크 역사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한 것인데

그 정통성은 물론 티무르가 날조한 것입니다.


어쨌든 터키 입장에서는 몽골=투르크 그러므로 

몽골의 지배를 받은 한국은 형제의 나라 이렇게 되는 거죠. 


결론은.. 민족은 개사기다.

그럼 쿠르드족은 뭐냐? 그런 민족은 없습니다.


인도에는 800개 언어가 있는데 인구 수억의 민족이 

그냥 힌두교에 녹아들어가서 정체성을 잃고 섞여 사는 거죠.

힌두교는 종교도 아니고 관습입니다.


터키지역 사람들은 정교를 믿느냐 이슬람을 믿느냐에 따라 구분되었고

케말 파샤가 아랍을 떨어내기 위해 투르크 민족주의를 날조합니다.


이건 600년 전에 티무르가 한 날조극의 재탕이죠.

문제는 케말 파샤가 세속주의를 주장했다는 거.

그러자 수니파 근본주의세력들이 세속주의에 반하여 집결한게

쿠르드인데 쿠르드어를 쓰는 사람들이 남동부 산악에 많았기 때문에 자연히

그쪽은 쿠르디스탄이라는 말이 붙은 것이고


사실은 이스탄불에 사는 쿠르드족도 많고

터키 독립에 가담한 쿠르드도 많습니다.

본질은 군부중심 세속주의냐 수니파 근본주의냐.

이걸로 민족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지금은 개판이 되어 이라크의 쿠르드족이 터키에 부탁해서 

같은 동족인 터키 내부의 쿠르드족을 폭격해달라고 하니까 터키가 폭격해 줬습니다.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터키에 석유를 팔아서 먹고사는데

터키의 쿠르드족이 중간에서 석유를 가로채려 하니까 

쿠르드가 터키에게 쿠르드 좀 폭격요. 제발.


1) 터키에는 로미(정교), 요난(카톨릭), 무슬림(이슬람교)이 살았다.

2) 무슬림은 그리스계+투르크계+이란계(쿠르드)+아랍계가 있다.

3) 케말이 투르크+세속주의를 깃발로 세우자 수니파 근본주의 이란계와 아랍계는 난감해졌다.

4) 동부 산악지역 수니파 근본주의가 쿠르드족으로 명명되었다.

5) 쿠르드족은 같은 의사결정단위를 이뤄본 적이 없고 지금도 내분 중이다. 


[레벨:8]dharma

2015.07.31 (06:14:48)

그런거였나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773
1038 요지경속에 진짜 1 지여 2011-02-12 3632
1037 호모 날레디의 등판 김동렬 2017-01-09 3634
1036 군바리와 시다바리 김동렬 2017-07-11 3635
1035 잠재적 전쟁상태 현대의 종교 눈내리는 마을 2013-03-21 3637
1034 동물의 행복 1 김동렬 2016-07-20 3637
1033 현대성이란 무엇인가? 8 김동렬 2013-01-10 3638
1032 이런건 창의가 아니다 김동렬 2016-10-04 3642
1031 구조론 사이트 옛글을 돌아보다 -끝까지 가보기- 5 오세 2015-09-22 3643
1030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image 10 김동렬 2013-01-12 3645
1029 인간의 뇌는 장식용이다. image 김동렬 2016-10-31 3645
1028 자동차와 컴퓨터 image 7 김동렬 2014-04-14 3647
1027 중력파의 발견과 인플레이션 이론의 증명 image 6 김동렬 2014-03-18 3650
1026 머신러닝과 구조론 - 1. 지도학습 image 1 이금재. 2021-07-22 3651
1025 [제민포럼] 당신은 반드시 실패한다 2 ahmoo 2015-12-10 3654
1024 모계사회 3 눈내리는 마을 2014-08-22 3655
1023 take와 득得 3 김동렬 2016-06-03 3676
1022 생각의 정석 17회 2 오세 2013-11-21 3677
1021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image 3 Beholder 2011-07-05 3681
1020 다섯 개의 질문 6 김동렬 2011-11-28 3682
1019 양모의 예언 1 양을 쫓는 모험 2011-01-29 3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