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505 vote 0 2015.06.10 (21:25:15)

 158.jpg

   
    유체는 중앙과 주변의 대칭을 연출한다.

    내부가 균일한 유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위치에너지를 끌어낸다.


   159.jpg


    균일한 바퀴살이 중앙과 주변의 대칭을 이룬다.
    계 안의 대칭을 계 바깥으로 빼면 운동에너지가 연출된다.


    160.jpg


    유체의 균일해지는 속성이 위치에너지를 만든다.
    외부공간을 투입하여 불균일을 연출하면 운동에너지가 된다.


    161.jpg


    당겨진 활의 내부는 균일하다.
    시위를 놓으면 외부공간과의 불균일이 연출된다.

 163.jpg에너지 낙차가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꾼다. 

균일한 유체가 아니므로 운동에너지는 위치에너지가 될 수 없다.


    162.jpg


    균일을 불균일로 바꿔 사건을 일으킨다.
    에너지 투입없이 불균일을 균일로 바꿀 수 없다.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단위사건이다. 단위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에너지 포지션 변화과정을 거친다. 이때 불균일을 균일로 바꿀 수 없으므로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가진다. 모든 사건은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 뿐이며 그 역은 없으므로 사건은 예측가능하다.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바꾸는 경우는 에너지 투입없이 인간이 통제할 수 없다. 유체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건은 대칭≫비대칭, 균일≫불균일,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로 가는 과정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순서로 대칭의 형태를 바꾸어 통제가능하고 그 역은 없다. 에너지 투입없이 량의 대칭을 운동의 대칭으로 바꿀 수 없다. 균일은 일치되는 하나이고 불균일은 너무 많은 불일치이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이 불일치를 연출하므로 저절로 균일해질 수 없다.


DSC01488.JPG


    이 대목이 구조론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상황은 물리학의 특수상황이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유체의 균일한 상태와 불균일한 상태가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깨어있는 시민이라는 균일한 유체상태를 요구합니다. 잠들어 있는 불균일체는 유체가 아니므로 민주주의가 작동불능입니다. 그림이든, 스포츠든, 게임이든, 정치든, 음악이든, 전쟁이든, 생명이든모두 유체를 만들고 다음 이를 다양하게 변주하는 것입니다. 수구세력은 온갖 차별로 우리 사회를 유체의 균일한 상태에서 불균일한 경직상태로 바꾸어 나라를 망치려고 합니다. 그 변화과정에서 에너지를 빼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5.06.10 (23:36:5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41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092
3569 모형으로 이해하라 김동렬 2014-01-02 8764
3568 근원의 논리는 하나다 2 김동렬 2018-06-11 8763
3567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750
356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742
3565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733
3564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28
3563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26
3562 에너지와 구조 김동렬 2018-06-06 8719
3561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709
3560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8707
3559 사기당하지 않으려면 image 1 김동렬 2014-06-19 8707
3558 제 2의 스푸트니크 쇼크가 온다. image 11 김동렬 2015-06-29 8702
3557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98
3556 인간이 관측하다. image 김동렬 2016-10-14 8697
3555 에너지는 수렴된다 1 김동렬 2018-06-01 8695
3554 달이 뜨다 김동렬* 2012-10-21 8694
3553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8690
3552 마지막 한 걸음 김동렬 2013-12-16 8689
3551 이것이 전략이다. image 16 김동렬 2014-12-30 8688
3550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