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517 vote 0 2015.06.10 (21:25:15)

 158.jpg

   
    유체는 중앙과 주변의 대칭을 연출한다.

    내부가 균일한 유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위치에너지를 끌어낸다.


   159.jpg


    균일한 바퀴살이 중앙과 주변의 대칭을 이룬다.
    계 안의 대칭을 계 바깥으로 빼면 운동에너지가 연출된다.


    160.jpg


    유체의 균일해지는 속성이 위치에너지를 만든다.
    외부공간을 투입하여 불균일을 연출하면 운동에너지가 된다.


    161.jpg


    당겨진 활의 내부는 균일하다.
    시위를 놓으면 외부공간과의 불균일이 연출된다.

 163.jpg에너지 낙차가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꾼다. 

균일한 유체가 아니므로 운동에너지는 위치에너지가 될 수 없다.


    162.jpg


    균일을 불균일로 바꿔 사건을 일으킨다.
    에너지 투입없이 불균일을 균일로 바꿀 수 없다.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단위사건이다. 단위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에너지 포지션 변화과정을 거친다. 이때 불균일을 균일로 바꿀 수 없으므로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가진다. 모든 사건은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 뿐이며 그 역은 없으므로 사건은 예측가능하다.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바꾸는 경우는 에너지 투입없이 인간이 통제할 수 없다. 유체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건은 대칭≫비대칭, 균일≫불균일,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로 가는 과정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순서로 대칭의 형태를 바꾸어 통제가능하고 그 역은 없다. 에너지 투입없이 량의 대칭을 운동의 대칭으로 바꿀 수 없다. 균일은 일치되는 하나이고 불균일은 너무 많은 불일치이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이 불일치를 연출하므로 저절로 균일해질 수 없다.


DSC01488.JPG


    이 대목이 구조론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상황은 물리학의 특수상황이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유체의 균일한 상태와 불균일한 상태가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깨어있는 시민이라는 균일한 유체상태를 요구합니다. 잠들어 있는 불균일체는 유체가 아니므로 민주주의가 작동불능입니다. 그림이든, 스포츠든, 게임이든, 정치든, 음악이든, 전쟁이든, 생명이든모두 유체를 만들고 다음 이를 다양하게 변주하는 것입니다. 수구세력은 온갖 차별로 우리 사회를 유체의 균일한 상태에서 불균일한 경직상태로 바꾸어 나라를 망치려고 합니다. 그 변화과정에서 에너지를 빼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5.06.10 (23:36:5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65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489
3532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7356
3531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360
3530 대학은 대학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05 7361
3529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366
3528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380
3527 시행착오의 이유 김동렬 2018-07-09 7411
3526 구조론과 관념론 1 김동렬 2018-07-09 7418
3525 구조론은 의사결정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4-04-21 7431
3524 간은 무한이다 image 6 김동렬 2014-11-04 7440
3523 식민사관 본질은 인종주의다 image 11 김동렬 2016-05-18 7443
3522 구조론 쉽게 익히기 image 4 김동렬 2014-07-27 7446
3521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4-04-10 7458
3520 존엄이냐 행복이냐 image 3 김동렬 2014-12-13 7458
3519 너희는 진리를 사랑하라 image 김동렬 2016-09-06 7460
3518 자본은 왜 발전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9-10 7460
3517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465
3516 석가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30 7477
351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481
3514 철학에서 미학으로 image 2 김동렬 2016-08-31 7481
3513 에너지의 탄생 image 1 김동렬 2016-08-29 7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