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41 vote 0 2015.03.03 (20:03:58)

마케터님의 페북글 펌입니다.


###


선이라는 나라는 어찌보면 참 정교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왕조국가이나 왕이 모든 권력을 쥐고 통치하는 않는다
왕은 정승과 판서들의 의견에 항상 견제를 받는다
그렇담 정승과 판서가 월권을 하거나 패악을 하면 어찌되는가

이들을 견제하는게 이른바 3사다
대사헌 대제학 홍문관은 
지금으로 치면 검찰 국세청 감사원 언론사의 역할...

조선시대 3사의 역할은 막강해서 
만약 정승들이 3사의 탄핵을 받게되면
진위여부와 상관없이 일단 직을 물러나야 한다

그렇다면 이 3사의 임명은 누가 하는가?
물론 최종적으로 왕이 임명하지만 
이를 천거하는건 이조판서의 아래있는 
이조전랑이라는 담당자다.

이조전랑은 정승판서 보다 아래다
지금으로 치면 차관이나 그 아래 국장급(?)

결국 조선은 혈기 왕성한 젊은 신진사대부 대표에게
국가 최고직을 감찰하고 탄핵할 수 있는 권한을 준거다

결국 
왕은 정승판서가 견제하고
정승판서는 젊은 사대부가 견제하고
젊은 사대부는 왕이 천거하는 
거의 완벽한 상호 견제 시스템이 마련된거..

이런 절묘한 밸런싱을 디자인한 정도전은 정말
하늘이 내린 천재가 아닐까 싶다.

암튼 지금 대한민국 현실에서 정말 필요한게 
과거 조선시대 이조전랑 같은 직책이다.
과연 이게 뭘까 생각해보니

고위공직자 비리 조사처 즉, 고비처가 아닐까?

(마케터)


###


견제와 균형의 법칙을 작동시킨 거지요.

조선의 역대 왕들 중에 재용이나 현아, 그네처럼 쉽게 세습받은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태조 - 정적제거 집권

태종 - 형제제거 집권

세종 - 두형건너 집권

세조 - 단종제거 집권

중종 - 쿠데타로 집권

선조 - 시험잘쳐 집권

인조 - 얼떨결에 집권

효종 - 형을 잃고 집권

숙종 - 예송논쟁 집권

영조 - 독살의심 집권

정 조 - 아비잃고 집권


이름 깨나 알려진 임금들 중에 순탄하게 거저먹기로 집권한 왕은 거의 없습니다. 

팽팽한 긴장상태가 유지된 것이 그나마 시스템을 작동하게 한 원인입니다. 


1. 왕권과 신권 사이의 긴장

2. 유교와 불교/도교 사이의 긴장.. 백성들은 선비를 원수처럼 미워합니다. 

그래서 왕이 인기를 얻으려면 절을 짓고 도교제사도 지내는 방법으로 유교를 견제해야 합니다. 

왕이 인기 떨어지면 쿠데타 쉽게 일어납니다. 

3. 당쟁으로 인한 긴장.

4. 중국, 일본과의 긴장.. 명나라는 선조 이전까지 고려를 찬탈했다는 식으로 몰아서

조선왕조를 괴롭혔습니다. 청나라와의 관계도 숙종때까지 나빴고, 일본은 말할 것도 없고.

5. 이양선, 기독교로 인한 긴장.. 긴장을 극복 못하고 패닉에 빠져버림.


조선의 역대 왕들은 그나마 긴장상태를 잘 극복해서 

중국과 서양의 여러 왕들처럼 또라이 폭군 짓은 별로 안했는데 

정조 이후 고립주의 노선으로 가다가 일본과의 긴장소멸

청나라에는 대결구도 버리고 사대주의로 가서 긴장회피 하다가 청이 먼저 멸망.


정신차려야 합니다.

긴장 풀리면 죽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3.04 (22:30:55)

이러한 왕-정성-이조정랑의 견제구조가 

영조때부터 깨졌다고 하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청나라 황제가 사신을 통해 줄곧 간섭하기를 

조선은 왜 청나라처럼 독재를 하지 않고 왕이 신하들 말을 듣느냐? 


그래서 왕이 오래 살지 못하고 단명하는게 아니냐?

이런 잔소리를 해왔고 이게 반영된게 영정조일 겁니다.


결국 청나라의 간섭을 받아 왕과 신하가 서로 견제하는 정도전 시스템이 깨진게 

조선의 몰락한 원인이라는 거. 이후 세도정치로 왕이 독재하고 멸망.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91
978 마음의 병리에 존엄으로 답하라 image 오세 2010-11-12 3788
977 드라마, 골든 타임 보신 적 있나요? (갈등상황의 대화법적 해결을 중심으로) 이상우 관리자* 2012-10-21 3792
976 마케팅 사례의 구조론적 풀이 image 1 systema 2017-07-28 3793
975 큰 수레를 디자인하라 - 제민칼럼 13 ahmoo 2013-02-18 3795
974 슬로우. 2 아제 2011-02-16 3796
973 언어능력은 0세부터 2 김동렬 2017-04-13 3796
972 김성근의 한계와 미래 1 김동렬 2015-10-05 3797
971 숨은 전제를 깨달음 image 1 김동렬 2016-02-15 3798
970 볼보 디자인 image 5 김동렬 2014-10-07 3801
969 어느 새 바람에 알이랑 불어와 한을 곁에두고 날아가 최선최석규 2023-06-20 3801
968 마음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방향은 어느 곳이 먼저일까? 3 아란도 2011-02-15 3807
967 [제민] 역사라는 가장 극적인 한류 드라마 image ahmoo 2016-06-09 3810
966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813
965 중심 담 |/_ 2013-06-30 3814
964 (동서정신과학 학회 발표용 논문) 구조론으로 본 마음의 작동구조--새로운 통합적 심리치료 이론으로서의 구조론 마음이론의 가능성의 모색- 3 오세 2010-11-12 3815
963 숨은 전체 찾아보기 5 김동렬 2016-03-01 3819
962 노동은 박멸된다 담 |/_ 2013-03-28 3821
961 SMART 3 눈마 2016-04-20 3821
960 무한은 없다? 1 김동렬 2016-09-20 3829
959 국가범죄 1. 의심조장 1 오세 2013-07-08 3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