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지난 여름, 서울시 의뢰로 저염식 캠페인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는데, 이번에 서울시 엠보팅 "시청하면 삶의 질이 높아지는 서울시 영상물' 에서 1등을 했다고 하오. 제작하는데 한 달 걸렸는데, 기획하는데 하루 걸렸소. 질-입자-힘-운동-량 의 모델을 적용하면 기획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4.12.07 (21:05:12)

구체적으로 구조론을 어떻게 적용시켰는 지 친절한 설명 부탁합니다.

저나 눈팅분들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4.12.07 (22:23:34)

저도 궁금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4.12.07 (23:42:37)

원래는 그림으로 설명해야 제대로 전달할 수 있을텐데... 


접촉(질) > 인지(입자) > 판단(힘) > 행동(운동) > 결과(량) 에서 질-입자는 문제를, 운동-량은 답을 제시하는 과정이고, 중간에 힘은 문제의 본질을 드러는 것입니다. 


접촉 - 바쁜 도시인들은 건강을 챙기지 못해 질별에 걸리곤 한다.

인지 -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부종, 비만, 심장병, 고혈압, 뇌종중, 만성 신부전등 등을 유발한다.

판단 - 원인은 나트륨이다. 저염식 식습관으로 바꿔야 한다. 

행동 - 방법론 1, 2, 3, 4

결과 - 나트륨을 줄이면 건강해진다. 


맨 처음부터 다섯개를 만들어 놓고 콘티작업에 들어갔는데, 판단(힘) 부분을 어떻게 넣어야 할지 고민하는 데 하루 걸렸습니다. 다섯개를 기준으로 인지(입자)부분과 행동(운동, 방법론) 부분에 서브 카피를 넣고, 이것을 다시 장면 개념으로 썸네일을 추가하여 콘티를 완성하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처음부터 다섯개의 괄호를 그려넣고, 그것을 채워나가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디자이너와 모션그래퍼와 계속 조율하면서 애니메이션을 진행하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4.12.08 (14:57:24)

감사히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텡그리

2014.12.08 (21:01:54)

내용이 깔끔한 느낌이 나는게, 아주 좋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4.12.08 (00:09:03)

구조론 성공사례 반갑습니다. 참 좋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4.12.08 (10:26:34)

영상물과는 관계 없고 내용에 관해 한 말씀 양모님께 드립니다.

저는 현재 자연의학을 하고 있는데

고혈압,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협심증, 만성위염, 암 등등의 환자에게 죽염을 하루 6~8g 정도 이상을 먹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으로 효과를 많이 봤고요.  건강에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문제는 정재염입니다.

짜게 먹으면 병이 된다는 이론은 미국에서 성립된 것입니다.

미국은갯뻘이 없습니다.  그래서 천일염이 없고 모두 암염입니다.

암염에는 미네날도 많지만은 각종 중금속도 많이 있어서 그냥 먹을 수가 없고 정재를 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나트륨 99.8%인 정제염이 탄생하게 되었죠.  이 정재염을 먹는 경우에는 위의 영상물의

내용이 맞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천일염이 있고 여기에는 각종 미네날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물론 나트륨이 대부부이지만 다른 미네날과 상호 작용으로 정재염과 같은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런 소금으로 발효시킨 간장, 된장, 젓갈, 김치등이 있습니다.

물론 천일염도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최소 3~5년 정도 간수를 빼야 하고 그 다음 8시간 정도 쎈불과 약한 불에 볶아야 핵비소

같은 중금속이 기화되어 날아 갑니다. 

이런 소금을 7~8g 정도 식사 외에 별도로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소금의 효능의 첫째가 소염기능입니다. 

그래서 이런 과정을 일반인드은 하기 어렵기 때문에 9회 죽염을 먹여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물론 죽염만 가지고 치료하는 것이 아니지만 자연 치료에서는

죽염이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기 때문에 알려드립니다. 

기회가 있으면 여기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시중에는 이를 증명할 많은 책들이 나와 있습니다.

저는 짜게 먹어야 건강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인은 싱겁게 먹어서 병이 생기고 있습니다.

[레벨:15]lpet

2014.12.08 (10:49:50)

소금은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필요한데 너무 많아도 적어도 몸에 안좋죠.

많이 먹어도 웬만하면 알아서 배출되지만, 대사능력이 떨어진 사람들은 인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천일염에 들어있는 미네랄은 너무 극소량인데 그걸로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좀 납득되지 않는군요.

미네랄은 음식에 들어있는 량으로도 충분하고, 부족하면 영양제를 먹으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4.12.08 (11:40:40)

서양의학에 기초화가 되어 있으면 아마 납득하기 어려운 내용일 것입니다.

저도 과거 그랬으니까요.

소금도 어떤 소금이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좋은 소금은 왠만한 치료제보다도 월등한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죽염을 권장합니다.  영양제로 보충하는 것은 몸을 나약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어른들이 편식을 많이 합니다.  말 그대로 골고루 먹고 체질에 맞는 음식을 먹으면 영양제가 필요없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2.08 (11:47:04)

죽염은 그냥 사기입니다. 

그런 존재가 없어요.


김일훈이라는 자가 아무 근거없이 소금에 재 뿌린게 죽염이죠.

소금에 왜 재를 쳐? 미친 거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4.12.08 (14:04:49)

무득님은 눈치라는 걸 좀 어딘가서 구해보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4.12.08 (17:05:45)

저도 지금 많이 후회하고 있음. ㅠ

프로필 이미지 [레벨:9]텡그리

2014.12.08 (21:03:02)

ㅋㅋㅋ


나중에 죽염 먹는 사람들만 조용히 모여서, 


구조론으로 죽염의 필요성을 어필하는 동영상 제작을 냥모님께 의뢰하는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2.08 (17:21:36)

1) 죽염은 존재하지 않는다.

2) 도자기를 구울 수는 있어도 소금을 구울 수는 없다.

3) 죽염과 관련된 모든 것은 한의학에 없고 김일훈이 지어낸 거짓말이다.

4) 죽염을 먹는 것은 소금을 비눗물(잿물)에 섞어 먹는 것과 같다.

5) 죽염으로 알려진 상품은 그냥 불량소금일 뿐이다. 


황토가 몸에 좋다며 밥에다 황토흙을 뿌려 먹는다든가

황토를 포함한 라면을 판매한다든가 이런 것도 시도해볼만 하죠. ㅎㅎ

황토가 몸에 좋을 리가 없죠. 

황토는 쇳가루 섞인 흙일 뿐.

죽염에 황토와 대나무를 태운 재 외에 아무 것도 없습니다.

어느 쪽이든 몸에 해롭죠.

죽염은 법의 헛점을 교묘하게 이용한 사기 외에 그 어떤 것도 아닙니다.

일단 죽염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물질 자체가 지구 안에 없습니다.

소금을 구울 수 없으므로 구운 소금이라는 것도 없습니다.

옛날의 소금 제조방법인 바닷물 끓이기를 소금굽기라고 하지만 그건 다른 거고.

죽염이라는 단어가 없습니다.

죽염이라고 하면 안 되고 그냥 불량소금이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792 오늘의 뭉클한 댓글 7 김동렬 2011-10-26 3215
1791 가난해도 한부모가정이어도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5 이상우 2015-07-06 3215
1790 트위스트 김과 리영희 3 노매드 2010-12-07 3216
1789 통진당 홈피보다 답답해서... 24 아란도 2012-03-12 3216
1788 첫 인사 드립니다..^^겸 입금확인 부탁드립니다... 1 길리안 2009-02-10 3217
1787 구조론 책 배송 문의 2 온토 2009-01-15 3218
1786 문재인 TV광고 2탄! 2 양을 쫓는 모험 2012-12-03 3219
1785 새로운 집단장 축하합니다 1 어울림 2010-02-01 3220
1784 플라스적 - 마이너스적 요소 일반이론 2011-10-14 3220
1783 스마트폰을 바꾸고 싶은데... 6 aprilsnow 2012-01-11 3220
1782 영화 백 투 더 퓨처 30년만에 재개봉 image 5 락에이지 2015-10-21 3220
1781 대통령, 친구. ░담 2011-02-16 3221
1780 난 486 세대 별로 신뢰 안한다 1 스타더스트 2011-05-11 3221
» 구조론을 알면 이런것도 만들 수 있소. 14 냥모 2014-12-07 3226
1778 광복절 영화상영 냥모 2013-08-13 3228
1777 히틀러라는 다큐인데 2부만 올립니다 까뮈 2013-08-16 3228
1776 과묵한 아이들이 더 위험할 수 있다. 4 이상우 2012-05-03 3229
1775 구조강론 스케치북 3 냥모 2013-05-20 3229
1774 정회원 부탁드립니다. 1 용형호제 2008-12-08 3230
1773 프랑스와 영국의 디자인 image 챠우 2017-06-24 3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