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read 7310 vote 0 2003.08.03 (00:13:21)

타박 타박 타박네야~ 이렇게 시작되는 노래를 아실 겁니다. 여기까지만 듣고도 타박네가 여자라는 사실 쯤은 금방 알아챘을 것입니다. 근데 타박네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어떻게 알았지요? 뻔하죠. 남자라면 타박 타박 타박이야~ 라고 했을 겁니다.

남자-타박이, 여자-타박네

일단 이 사람의 성이 타씨이고 이름이 박네인 것은 아닐 것이고..왜냐하면 타씨 성을 가진 사람은 들어본 적이 없으니깐두루.. 가설라무네 그렇다면 이름이 타박 아니면 타박네인데 어느쪽이 맞을까요?

말뚝이의 이름은 말뚝입니까 아니면 말뚝이입니까? 타박 타박은 의성어입니다. 그렇다면 별명이죠. 이 여인의 실명은? 알 수 없지요. 타박 타박 걸어다닌다고 해서 누군가가 타박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고 여자이므로 거기에 네를 더한 것입니다.

이쯤 되면 네가 여성형 어미라는 사실은 더 말 안해도 이해가 되셨을 겁니다. 이와 유사한 패턴의 이름은 매우 많으니까요.

남자-일용씨, 여자-복길네

원래 여자에게는 네를 붙이는 거에요. 근데 이게 국어사전에 안나온다면 국어사전이 잘못된 경우죠.

아래는 웹검색에서 나온 것인데 영어, 프랑스어 뿐 아니라 라틴어, 희랍어, 스페인어 등 여러나라 말에 두루 공통되는 말입니다. 인도, 중국, 일본어에도 물론 부분적으로 관찰되구요.

아래는 웹검색..

* Hero(남성)->Heroi+ne(여성)

* 빠리의 여성 시민을 의미할 때에는 'Parisien(빠리지엥)'의 어미에 다시 'ne'가 부가되어 'Parisien+ne(빠리지엔느)'로 된다.

* Dozenti+n die -nen 대학 교원(Dozent의 여성형)

* 이씰린은 이씨마(issima : 최고의)와 린(Lin : 여성형 어미)의 합성어로 최고의 여성이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뜻입니다.

이 외에도 여자 코리->코린, 앤->안느, 요한->조안 하는 식으로 여성 이름에 일부러 N을 붙이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다른 형태의 여성형어미도 있구요.

아드리안느, 아테네, 헬레네, Selene, Dione, 에서 뒤에 오는 네도 모두 여성형어미입니다. 제인, 다이아나, 마돈나도 그렇고.. 기타 등등 무수히 많죠.

제 기억력이 좋지 못해서 혹 일부 사실에 오류가 있을까 하는 걱정도 있지만 아마 대개 맞을겁니다.

전원일기의 종기네(이수나), 섭이네(김정), 숙이네(김명희),들에서 종기네는 종기와 그 일가족을 지칭하게도 되지만 이는 의미가 확장된 경우이고 원래는 정확히 이수나를 지칭합니다. 섭이네는 김정 한 사람을 의미하고 숙이네는 김명희를 가리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1 [신동아] 우리말은 우랄알타이어가 아니다. 김동렬 2003-12-31 17093
50 남녀의 생식기 김동렬 2004-05-08 4547
49 "한민족 대다수 조상은 중국 중북부 농경민족" 김동렬 2004-05-13 4407
48 마씸과 마쓰 김동렬 2004-05-18 9126
47 우리말과 일본어 김동렬 2004-06-30 3675
46 라후족이 고구려의 후손? 김동렬 2004-07-09 6604
45 인류 최초의 언어는? 김동렬 2004-07-22 9581
44 사람은 말 배우기전 생각의 틀부터 갖춰 2004-07-26 3415
43 어원관련 자료 김동렬 2004-09-07 3471
42 항하사 2005-03-24 3507
41 외국인에게 한국어가 들리지 않는 이유 2005-04-04 5146
40 당신의 문제 김동렬 2005-04-11 4171
39 들리는 것과 발음하는 것은 다르다. 김동렬 2005-05-24 4391
38 우연히 발견한 글 김동렬 2005-07-17 6497
37 봐, 봐봐, 봐봐봐 2005-09-19 13765
36 2005-09-21 3563
35 우유는 우리말로 '타락'이라는데 김동렬 2005-09-30 7141
34 dog 김동렬 2005-11-11 4221
33 의태어의 문제 김동렬 2005-12-25 8369
32 힌두어의 어순 김동렬 2006-01-24 7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