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2002/02/20 12:15


.. 살다 산(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추정하면 솟다, 꼭대기super를 의미하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길(道)은 가다go에서 왔습니다. 가다의 원래 의미는 gesture입니다. 꿈틀(움틀), 꾸물(우물), 꿈쩍(움직) 길이 다 여기서 나왔습니다. 원래는 간다는 의미보다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way, wave도 이 계통입니다.

이르다가 가다/오다의 뿌리입니다. 예컨대 다니다는 닫다+니다(이르다)

돈(錢)은 준다는 뜻으로 돈을 다오, 돈을 달라, 할 때의 도(다오)에서 돈(준)이 되었습니다. 즉 돈은 주(도, 다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말 '주다'는 원래의 기본형 '도다(달다)'가 구개음화 된 경우입니다.

도다(달다)┳ 돈을 다오, 돈을 달라(주시오)
┗ 주다(구개음화)

져(due, 빚을 져debt), 줄(주었다date, data, 줄doll ※원래는 준다는 뜻) ducat(금화, 주는 돈)
talent(성경에 나오는 달란트 금화-돈을 달라는 의미)

정리하면 모든 단어는 궁극적으로 동사에서 나왔습니다. 움직임을 표현하는 말에서 출발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언어가 보디랭귀지에서 나왔기 때문에 보디랭귀지로 나타낼 수 있는 동작표현이 먼저 생기고 나중에 의미가 세분화되어 명사와 형용사가 생겨난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1 만다린어 김동렬 2006-06-30 7233
30 우리말과 영어의 친연성을 암시하는 기사 김동렬 2006-08-11 5090
29 가마 구멍 김동렬 2006-12-04 5242
28 정선의 백인 인골 김동렬 2006-12-05 6373
27 겨집(계집) 메누리(며느리) 김동렬 2007-01-09 6876
26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에서 김동렬 2007-03-29 5172
25 ㅂ으로 끝나는 단어들 김동렬 2008-12-11 8167
24 찰 한 김동렬 2009-09-16 5481
23 타밀어 image 김동렬 2009-09-16 5279
22 닥터 김동렬 2009-10-24 5190
21 영장류 몸짓에서 언어 기원 찾았다. 김동렬 2009-11-15 5173
20 팔라우어 김동렬 2010-02-08 6054
19 마루치 아라치 김동렬 2011-02-14 8409
18 건길지 아비지 김알지 김동렬 2011-03-29 6016
17 아기발도[阿其拔都] 김동렬 2011-03-31 7005
16 밭은 땅 김동렬 2011-09-27 4155
15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김동렬 2012-01-03 5044
14 검다의 어원 김동렬 2015-11-19 3084
13 우리말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1-22 3335
12 take 得 김동렬 2016-06-03 2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