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315 vote 0 2014.09.11 (14:25:08)

 

    열역학 1법칙과 2법칙에 모든 것이 들어 있다. 1법칙은 대칭, 2법칙은 비대칭이다. 공간은 대칭, 시간은 비대칭이다. 


    세상은 대칭되어 평등하면서도 한편으로 비대칭되어 불평등하다. 밑바닥 에너지가 방향을 틀 때는 진행을 멈추므로 세상이 평등하고, 방향을 바꾼 다음에는 진행하므로 세상은 불평등하다. 


    구조론적으로는 세분화시켜 5개의 법칙이 있다. 계의 법칙≫대칭의 법칙≫방향의 법칙≫순서의 법칙≫무한의 법칙이다. 


    계의 법칙은 내가 가진 것은 남도 가지고 있는 법칙이다. 대칭의 법칙은 어딜 가나 반대파가 있는 법칙이다. 방향의 법칙은 갈 수는 있어도 돌아올 수는 없는 법칙이다. 순서의 법칙은 앞사람을 추월할 수 없는 법칙이다. 무한의 법칙은 도무지 끝이 안 나는 법칙이다. 


   열역학 법칙은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단순화된 상태다. 법칙을 깨려면 뭔가 있어야 하는데 그 뭔가를 모두 제거하면 이렇게 된다. 무인도에 두 명이 알몸으로 고립되어 있다고 치자. 내가 갖고 있는 것은 상대방도 갖고 있는 것이다. 


    에너지를 통제하는 이 다섯가지 법칙으로 세상은 운영된다. 법칙을 순서대로 적용하여 당신은 우주를 창조할 수 있고, 생물을 진화시킬 수도 있고, 자본을 팽창시킬 수도 있고, 국가를 번영시킬 수도 있다. 무엇이든 가능하다. 정답은 있다. 다만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게 함정이다.


    ###


    구조론의 질, 입자, 힘, 운동, 량 개념을 열역학에 대면 계의 법칙≫대칭의 법칙≫방향의 법칙≫순서의 법칙≫무한의 법칙이 된다. 이 법칙으로 바둑게임을 설계할 수 있다. 흑이 가진 것은 백도 가지고 있다. 흑은 항상 백의 방해를 받는다. 한 번 놓은 돌을 되물릴 수 없다. 놓여있는 자리에 또 놓을 수 없다. 바둑판은 충분히 커야 한다. 이렇게 규칙을 정하면 실력이 가려진다.


    정치든 경제든 사회든 문화든 이러한 게임의 구조로 조직을 세팅해야 정당성을 인정받게 된다. 반칙이 불가능한 구조가 되어 조직원 모두가 한 방향을 보고 전진하므로 치고 나가는 기세가 얻어져서 집단이 번영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최종적으로 얻는 것은 팀플레이에 의한 시너지 효과다.


    게임의 법칙을 기본으로 놓고 다양하게 변주할 수 있다. 고수와 하수간에 실력차가 있을 때는 하수에게 미리 몇 점을 접어주는 식으로 고수에게 핸디캡을 준다든가 하는 방법이 있다. 법칙을 적절히 변형할 수는 있어도 무시하면 안 된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흑이 이겨야 한다든가 혹은 백이 이겨야 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미리 답을 정해놓고 짜맞추려 한다.


    인간이 태어났을 때 이미 게임은 진행중이었다. 남의 바둑을 중간에 인계받은 것이다. 게임의 룰도 모르면서 말이다. 원점으로 돌아가야 한다. 단순화 시키면 된다. 한 개인이 아니라 인류 전체로 보는 것이다. 70억 인류 전체가 한 명의 사람이라면 인간이 무인도에 고립된 열역학적 존재임을 깨닫게 된다.


    ◎ 질 - 계의 법칙 : 내게 있는 것이 상대도 있다면 결합하라.
    ◎ 입자 - 대칭의 법칙 : 항상 반대파가 있다면 독립하라.
    ◎ 힘 - 방향의 법칙 : 갈 수 있는데 올 수 없다면 교섭하라.
    ◎ 운동 – 순서의 법칙 : 추월할 수 없다면 변화하라.
    ◎ 량 – 무한의 법칙 : 끝나지 않으면 침투하라.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양은 침투한다. 구조론의 법칙이다. 의사결정도 이 원리를 따라야 한다. 정치든 경제든 사회든 가장 단순화된 상태로 만들면 구조가 드러난다. 이때 열역학적 상황이 조성된다. 그 때는 법칙을 따라야 한다. 만약 법칙이 보이지 않으면 가장 큰 인류단위로 문제를 확대한 다음 가장 작은 개인 단위로 집행하면 된다. 세상을 가장 멀리까지 바라보고 고독하게 혼자서 결정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69
3741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image 1 김동렬 2016-08-08 6165
3740 무속과 종교의 차이 image 1 김동렬 2016-06-10 6180
3739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image 3 김동렬 2015-04-17 6195
3738 전우치가 실패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5-09-08 6200
3737 파우스트의 결론 김동렬 2018-08-07 6206
3736 지적설계설의 아이러니 김동렬 2014-10-05 6213
3735 질≫입자≫힘≫운동≫량 image 1 김동렬 2014-12-07 6213
3734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221
3733 논어 2, 공자는 용서없다 image 2 김동렬 2016-01-28 6223
3732 창조론의 즐거움 image 5 김동렬 2015-05-14 6236
3731 마음 차리기 image 1 김동렬 2015-02-21 6258
3730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265
3729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image 2 김동렬 2016-04-19 6274
3728 엉뚱이가 창의를 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5-11 6280
3727 외계인의 입장 10 김동렬 2018-08-20 6280
3726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관찰 image 김동렬 2015-03-24 6284
3725 집과 길 그리고 자궁 image 1 김동렬 2014-11-20 6288
3724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298
3723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302
3722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