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큰바위
read 3066 vote 0 2014.06.20 (14:19:10)

이 곳 구조론에서 대화를 하다보면 용어의 정의 때문에 빚어지는 헛발질을 많이 목격하게 된다. 

김동렬 님께서 구조론에서 말하는 신은 기독교나 다른 신과 거리가 멀다고 했다. 

그런데 여전히 대화를 하다보면 어떤 사람들은 여전히 기독교인으로 자신을 정의하면서 신의 이해에 대해 설파한다. 


과연 각자가 말하는 신이란 어떤 신인지?

그리고 그 신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신의 형상이란게 도대체 뭔지 풀어보심이 어떨는지?


신. 

정의하면 이미 신이 아닌게 되어버리는 존재인데, 

모두 어떻게 정의할 건가?




[레벨:12]부하지하

2014.06.20 (22:59:28)

형식이 내용에 앞선다.

총에서 발사된 총알, 활에서 쏘아진 화살이라야 의미 있는것.

말이나 글도 심경에 부딪쳐 터져 나오는것이고, 글의 진정성이 거기에 있다.

[레벨:8]상동

2014.06.21 (06:58:49)

신사부일체..

신이나 스승이나 부모님이나 모두 나의 그릇을 키워주는 존재.


그렇게 해서 커진 나의 그릇이 뿌리까지 닿을때,

이제는 떨구워 일대일로 대등하게 맞장뜰 존재.


요구가 아니라 내안에 품어야 할 존재들.


[레벨:15]파란하늘

2014.06.21 (08:04:23)

강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산을 만나게 되고,

자식을 뒤쫒아가면 어미를 만나게 된다.

 

모든 존재의 배후에는 반드시 그 존재의 자궁인 구조가 있다.

모든 존재를 구조로 해명할 수 있는데,

굳이 신..이라는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를 나의 일관에 대칭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구조가 아닌 한 지점을 필요로하게 된다.

신이란, 나의 일관과 일대일로 맞서기 위해 구조에 부여한 인격적 속성이다.

나를 세상전체와 전일자로 대응시키려면 반드시 세상을 하나의 인격적 모형으로 만들어야 한다.

 

 

 

[레벨:5]msc

2014.06.21 (11:16:52)

김선생님의 신은 자신의 깨달음 가는 과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37
847 라디님의 허공답보 시범 13 김동렬 2014-07-03 4488
846 생각의 정석 41회 1 오세 2014-07-03 2819
845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58
844 이스터 섬의 진실 4 김동렬 2014-06-30 5242
843 개 한 마리에 592억 image 2 김동렬 2014-06-30 5883
842 대칭 긴장 영감 눈내리는 마을 2014-06-27 2864
841 생각의 정석 41회 11 오세 2014-06-26 2941
840 진정성 있는 사과란 어떤 것인가? 김동렬 2014-06-24 3476
839 역설 그리고 역설의 역설 image 김동렬 2014-06-23 3290
838 재미있는 무한동력 5 김동렬 2014-06-23 6123
» 신? 신의 형상? 4 큰바위 2014-06-20 3066
836 생각의 정석 40회 오세 2014-06-19 2925
835 당신은 우리 편인가? 오세 2014-06-19 2768
834 다섯 조율과 종교 담 |/_ 2014-06-17 2911
833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678
832 일대일.나는 누구인가. 3 아제 2014-06-13 3453
831 생각의 정석 39회 오세 2014-06-12 3266
830 생각해볼만한 어떤 수준이하 5 김동렬 2014-06-11 4365
829 냉정과 열정사이. 2 아제 2014-06-10 2796
828 진,선..그리고 미학. 아제 2014-06-10 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