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노자 도덕경 2장에 이런 말이 있다.
(내가) 아름다운 것을 (남의) 아름다운 것으로 알면 그것은 잘못이다.
왜? 사람마다 아름다움의 판단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소리다. 그렇다면 공통성을 무시하자는 말인가?
그게 아니라 인간은 '인간이기때문에' 가지는 인간만의 아름다움은 있는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다르다. 그러나 생물로서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같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어디까지나 그 근원이 생물의 이치에 기인한 것이지
사물의 이치와는 또 다른 것이다.
나 이외의 다른 사람들과의 기준이 같음만을 두고 객관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우리의 주관이 나의 객관이라고 그 본질 자체가 객관적인 것은 아니다.
순수 객관은 생명체와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객관적인 사물은 나와 무관하게 스스로 존재할 수 있지만
아름다움의 가치는 그런게 아니다. 나(주관)를 중심으로 나올 수밖엔 없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은 주관적이다. 본성상 그렇다는 얘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5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678
1226 촘스키의 타락 11 김동렬 2022-04-18 3175
1225 구조론적 세계관 2 김동렬 2021-02-11 3173
1224 언어의 시작 1 김동렬 2020-01-07 3172
1223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171
1222 매끄러운 우주론 1 김동렬 2019-08-30 3169
1221 구조주의 교육으로 갈아타자 3 김동렬 2020-05-19 3167
1220 존재의 근원 image 6 김동렬 2020-04-26 3166
1219 구조론을 읽고 말하자 1 김동렬 2019-08-04 3165
1218 커플은 솔로를 이긴다 1 김동렬 2019-06-20 3165
1217 성선설과 성악설 김동렬 2021-03-15 3162
1216 의도가 아니라 결과다 1 김동렬 2019-07-04 3162
1215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김동렬 2021-04-05 3161
1214 세상은 마이너스다. 김동렬 2021-05-18 3160
1213 구조론의 접근법 1 김동렬 2020-06-29 3159
1212 비겁한 과학자들 김동렬 2021-12-05 3157
1211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1-10-15 3156
1210 안철수로 단일화가 정답 김동렬 2021-03-03 3156
1209 관점이 운명을 바꾼다 3 김동렬 2021-02-22 3155
1208 예술의 본령 2 김동렬 2019-12-20 3154
1207 공자의 긍정인가, 노자의 부정인가? 1 김동렬 2020-11-17 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