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기준님하
read 5206 vote 0 2009.07.29 (06:56:43)


안녕들하십니까 

앞으로 제가 다루어 보고싶은 분야는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수학  등이 있습니다. 이는 학문의 분류상 이름붙인 것일 뿐이지 학문에 접근하는 방식이 각 분야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방식이 집단지성에 의한 총괄이론이기 때문입니다. 
 
경영학, 심리학, 생물학 부분은 제가 지금 당장 할 얘기 꺼리가 많습니다. 수학, 물리학, 화학 분야는 지금 제가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제가 추구하는 예술세계에 대해서도 보여드릴 생각입니다. 

우리가 각자 관심갖는 분야에 대해서 글을 쓰면서 보다 정교하고 앞선 구조론을 만들어가도록 합시다. 



제가 회원님들께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 

구조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글을 써보십시오. 

구조론의 모든 원리를 다 이해하지도 못했는데 글을 쓰기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처음에는 이 정도만 해보셔도 좋습니다. 

1) 주관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정의
2) 내가 정의한 요소들의 상대적 관계만들기

다양한 분야를 토론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자주 보도록 합시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09.08.03 (09:53:08)

제 이해가 정확하다면, 구조의 파악이란,
1. 수직적구조 (에너지의 흐름)
2. 수평적구조 (단일 단계내에서의 자유도 분배)
로 볼수 있습니다.

Free Body Diagram (FBD)에서 보면, control volume 이라는 '덩어리'를 설정해놓고,
그 외력을 그립니다. 그러니, 2번은 없고, 1번을 두고 힘의 구조를 판단합니다. 힘 (F)가 벡터라고 보면,
모든 방향의 F의 합은 제로라고 설정(이것이 저울)하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66
1746 흉노는 누구인가? image 3 김동렬 2016-10-07 5315
1745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313
1744 국민 불패 선거 구조 2 ░담 2010-06-03 5299
1743 왕의 시대 그리고 민중의 시대 image 5 김동렬 2015-02-09 5298
1742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295
1741 약자공격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 image 9 김동렬 2018-07-19 5290
1740 대답해도 되는 질문 17 김동렬 2013-07-09 5289
1739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283
1738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271
1737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267
1736 이스터 섬의 진실 4 김동렬 2014-06-30 5240
1735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35
1734 교사란 무엇일까요? 4 후추 2009-02-23 5234
1733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28
1732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219
1731 뭔가 예언한 윤태호의 이끼 결말 image 김동렬 2016-11-20 5212
1730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10
»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06
1728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07
1727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