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419 vote 0 2014.02.05 (11:35:2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contents_id=2426


몬티홀 문제를 설명하는 블로그가 여럿 있는데 다들 넘 어렵게 설명합니다. 

가위바위보를 이기는 방법은 상대방보다 늦게 내면 이깁니다. 무조건 늦게

선택하는게 유리해요. 경마장에서 베팅을 할 때도 최대한 늦게 선택하려고 

맞대기를 찾지요.


처음 세 개의 선택지를 줍니다. 다음 사회자가 하나의 선택지를 제거하는데

사회자는 답을 알고 있으므로 자동차가 없는 염소문만 선택합니다. 즉 사회

자가 추가정보를 준다는 거죠. 이때 추가정보를 얻고 난 다음에 최대한 늦게

선택하는게 유리합니다.


여기서 트릭.. 많은 사람들이 선택을 바꾸는 문제라고 착각합니다. 선택을 

왜 바꿉니까? 안바꿉니다. 선택을 늦게 하는 문제입니다. 


1.내가 선택한다.

2.사회자가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봐준다.
3.나는 무조건 선택을 바꾸는게 유리하다. 


이게 아니에요. 1. 선택하는 척 할 뿐 선택은 안 합니다. 사회자가 염

소문을 열어서 답을 맞출 확률을 올려줍니다. 이제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서 알게 되는 것은 사람들은 한번 마음을 정하면 잘 바꾸지 않

으려 한다는 것. 즉 과감한 의사결정을 못한다는 것. 왜 못할까요?

자신의 선택이 옳은지 그른지 알 수 없기 때문. 즉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유의미한 데이터로 만들려고 하는 관성의 법칙이 있습니다.


경마장에서 우승마를 맞추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어떤 법칙으로 맞

추는걸 원하는 거죠. 다양한 베팅법칙을 만들어내는데 대개 머저리

짓입니다. 그런데 왜 법칙을 숭상하는가 하면 다음번에 또 써먹으려

고 하는 거죠.


우연히 맞추면 1년의 운을 다 빼먹은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우연히 

맞춘게 아니고 징조가 있었다고 믿고 싶은 거죠. 그래서 사람들은 틀린

선택을 계속 밀어붙입니다. 자신이 틀렸음을 확인하고 싶은 거죠.

그 경우는 인생의 교훈이 되는 의미있는 데이터가 되니까요.


그러므로 사람들은 선택을 잘 바꾸지 않으려고 한다. 이 심리를 역

으로 찌르고 들어가면 됩니다. 즉 상대방이 먼저 선택하게 교묘하게

유도하면 되는 거죠. 훼이크를 써서 거짓 정보를 제공하면 상대는

그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려고 합니다. 낚이는 거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818
758 대한민국, 존엄의 자궁을 만들다. -담 관리자* 2012-10-21 2932
757 나는 교사인가? 상담가인가? 2 이상우 2017-03-12 2931
756 주동 vs 추동, 일내기 즐거워야 진짜 2 담 |/_ 2014-06-10 2931
755 안구정화용 글 소개 1 수원나그네 2016-08-29 2928
754 생각의 정석 63회 2 오세 2015-01-19 2927
753 생각의 정석 52회 1 오세 2014-10-24 2927
752 마음의 하루. 1 아제 2012-11-03 2925
751 관점의 이동 훈련하기. 4 systema 2018-08-24 2923
750 소집의 종소리. -아제 관리자* 2012-10-21 2923
749 천재 착취 담 |/_ 2014-04-08 2922
748 구조론의 이해 4 김동렬 2014-03-31 2919
747 생각의 정석 29회 오세 2014-03-13 2917
746 작은 걸 내주고 큰 것을 얻는 메커니즘 2 이금재. 2021-11-12 2915
745 김황식은 양승태 못지 않은 악질 image 2 수원나그네 2018-07-04 2914
744 생각의 정석 27회 오세 2014-02-27 2914
74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10-25 2913
742 [제민포럼] 부족민에서 시민으로 1 ahmoo 2015-08-27 2910
741 록히드 마틴 사의 할아버지쯤 되네요 눈마 2016-10-01 2908
740 맹상군 리더십이 필요하다. 11 김동렬 2018-09-12 2905
739 진짜 전쟁 담 |/_ 2014-03-25 2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