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세
read 5527 vote 0 2009.07.24 (16:14:58)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인간의 경험 그 자체를 연구하오.
인간의 경험을 연구하면서 경험에 대한 개인의 진술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거기에서 어떤 더 큰 상위의 주제(theme)을 발견하는 것이 이른바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이오.

연구방법론 책을 보면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은 경험의 본질, '구조'를 찾는 것이 목표라고 하오.
구조라 하니 구조론이 떠올랐소.

구조론이 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툴이 될 수 있음은 구조론 회원님들의 글을 보면 알 수 있소.
구조론을 적용한 연구방법론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보오.
현재 질적 연구방법론들은 각기 인간의 경험을 수와 량에 의지하지 않고 그 자체의 의미를 탐색해보겠다고 이리저리 덤벼들고 있으나
좀 산만한 느낌이 드오. 질적 연구 방법론들은 어떤 커다란 철학적 입장, "인간의 경험에는 양적 연구방법론처럼 수량화하는 것으론 파악할 수 없는 주관적인 체험이라는 영역이 있으며 그 영역은 다른 방식으로 기술해야 한다. 그것이 질적인 연구방법이다"라는 거대한 공통분모만 가진 채 연구자 각자의 입장과 개성에 따라 각기 다른 연구방법을 쓰고 있어 다양하긴 하나 무언가 한 큐에 잡히는 느낌이 없소.
아하!, 사람들이 어떤 사건을 이렇게 느끼고 경험하는구나!
아하! 사람들의 체험이 이런 부분은 공통되고, 또 이런 부분은 각자 차이가 있구나!
경험의 주관성, 각자의 의미부여, 의미의 다양성과 공통점을 탐구하고 있으나 그 밑바탕의 구조를 발견하는 데 까진 이르지 못하고 있소.
간혹 에드워드 홀 같은 인류학자의 저술에선 경험의 구조에 대한 탐색이 엿보이기도 하나 대부분의 질적 연구들은 지엽적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상황이오.

왠지 구조론이 질적연구방법론을 위한 하나의 주요한 틀이 되어줄 수 있으리란 느낌이 지금 막 논문을 쓰다가 들었소.
구조론을 연구방법론으로 삼아 논문을 한 편 써 보자.
음, 졸업 전에 한 번 해 볼라오.

인간의 주관적 경험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다섯가지로 말한다면 무엇이 되겠소?
어떤 과정을 살펴보자면,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순으로 나타날 테고
의미는 어떻게 발전되겠소?

예를 들어 가출 청소년의 첫 가출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하자고 맘을 먹고 가출 청소년 한 10명 쯤 불러 심층인터뷰를 한다면
거기서 어떤 공통된 패턴을 얻을 수 있겠소?

구조론을 접한 후 뭐든 다섯 단계로 생각해보려는 '오(5)덕후' 스러운 습관이 생겼소.
인간의 경험의 한 사이클 내에서 무언가 다섯단계가 존재할 것이오.
인간이 경험하는 의미도 시작부터 끝까지 무언가 다섯단계를 거쳐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오.

내 고민의 요지는 이렇소.
만약 인간의 온갖 종류의 체험들을 질적 연구하는 논문을 대량으로 찍어낸내고 싶다면 구조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각자의 개인적 체험을 구조론적으로 다시 기술한다면 어떤 형태가 될까?
구조론 게시판에서 회원님들이 쓰는 글을 보면서 계속 아이디어를 수집해 보아야겠소.

이것을 성공하면 논문쓰는 소프트웨어 하나 만들어서 팔아볼라오
대학원에 와보니 아줌마, 아저씨들이 논문쓰느라 힘들어 죽을라하는 걸 보았소.
논문쓰는 소프트웨어하나 만들어 팔면 곧 대박날 것이오ㅋㅋ

[레벨:15]르페

2009.07.24 (18:15:28)

가출에는 총체적인 승패는 물론이고, 각 단계별로 성공과 실패가 있다고 보오.
실패한다면 두려움은 더욱 증폭되고 자신감도 상실해서 깊은 무력감에 빠질테고,
성공한다면 성취감과 자부심이 높아져서 자기 현실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려고 할거요.
주로 힘의 단계에서 실패하여 되돌아오는 아이가 많을거라고보오.

질 : 현실불만과 외부에 대한 기대감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미지의 세계와 결합
입자 : 가정과 학교로부터 독립하여 단독자로서 신과 첫 대면
힘 : 자신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신세계에 맞서 대결
운동 : 무수한 성공과 실패를 통해 기존의 가치관과 세계관의 변화
량 : 변화된 가치관을 가지고 돌아와 현실에 침투

1 처음에 가출을 고려할때 기대감과 두려움간에 팽팽한 줄다리기가 있소.
2 마침내 안전한 보호막에서 떨어져 나오면 혼자되었다는 강렬한 느낌이 생겨나오.
3 바깥세상의 위험과 유혹에 맞서면서 잠재되어있던 자신의 여러가지 능력이 깨어나오.
4 거친 세상과의 끊임없는 갈등과 협력을 통해 가치관과 세계관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오.
5 그 변화는 성패를 떠나 현실에 직접 침투하여 흔적을 남기오.

[레벨:15]오세

2009.07.25 (02:02:54)

우왕. 그것참 성공적인 가출담이로구려.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저렇게 적용할 수 있다는 걸 배울 수 있어 좋구려.
고맙소. 역시 처음은 만남으로 시작하고 끝은 무언가 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끝나는 구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09.07.25 (22:11:11)

오호!   재미있는 적용!
가출청소년의 심정이 남의 일 같지 않은지
여기 저기 경험들에 쏙쏙 대입이 되는구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38
386 생명로드 26 - 생명,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image 1 수원나그네 2018-07-16 1768
385 땅값 집값 문제 14 - 재건축 문제의 해법 image 수원나그네 2018-01-25 1768
384 4대강 만행을 돌이켜본다 수원나그네 2018-03-11 1765
383 구조론적 사고 1 김동렬 2017-11-29 1764
382 개훈련의 원리 1 이금재. 2020-09-18 1760
381 생명탈핵실크로드 10 - 재미있었던 날들 그리고 옥천행사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1 1758
380 한중일 엘리트 dksnow 2022-03-25 1757
379 양자얽힘의 부정, 아인슈타인의 유령작용 3 현강 2020-08-22 1756
378 [제민] 연약한 공유지를 지켜라 2 ahmoo 2018-09-04 1756
377 왜 마이너스인가. 2 아제 2018-06-04 1756
376 땅값 집값 문제 2 - 땅값의 원리 1 수원나그네 2018-01-13 1749
375 생명탈핵실크로드 소식 8 - 방콕기자회견 및 발표자료 image 수원나그네 2017-10-25 1748
374 물리학의 철학 대체 가능성 1 다음 2020-08-22 1743
373 구조에 대한 자본시장의 비유 하나 3 현강 2019-09-16 1742
372 어떤 둘은 만나지 않는다 챠우 2019-08-08 1741
371 7월12일(목) 옥천에서 만납시다~ image 수원나그네 2018-06-24 1739
370 관료를 다루는 법 1 수원나그네 2018-09-25 1738
369 KS 오리엔탈 익스프레스 image 1 수원나그네 2018-06-06 1738
368 땅값집값 24 - 미래가치의 현재화 3 수원나그네 2018-09-09 1736
367 간단한 구조분석 systema 2017-11-23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