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997 vote 0 2013.11.04 (23:41:14)

    하나의 존재는 다섯 개의 의사결정 단위에 의해 성립한다. 의사결정은 대칭에 의해 일어나며 비대칭으로 작동한다. 대칭과 비대칭 사이에 스위치가 있다. 하나의 존재는 다섯 개의 스위치를 가지는 셈이다.


    문을 닫으려면 문이 있어야 한다. 그 문은 열려있어야 한다. 열리는 방향과 거리와 지점도 결정되어야 한다. 한 번 문을 닫을 때 이 많은 것들은 동시에 결정된다. 하나를 결정할 때 다섯 개가 동시에 결정된다.


    전기 스위치는 단 한 번의 조작으로 다섯가지가 동시에 지정되도록 미리 세팅해놓은 것이다. 직접 선을 연결하려면 간단한 일이 아니게 된다. 자연에는 다섯 개의 스위치가 있으며 항상 연동되어 움직인다.


    밀도, 입체, 각, 선, 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선(線)이 부러지면 그 끊기는 지점이 점(點)이다. 하나의 선을 끊어 두 점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각(角)을 부러뜨려 두 선을 얻는다.


    각은 면(面)과 같지만 면은 어떻게 부러지는지 알 수 없으므로 구조론에서는 각을 쓴다. 각은 ∠이므로 어떻게 부러지는지 알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입체를 부러뜨리면 두 각을 얻는다.


1.GIF 

    입체 역시 정육면체를 떠올리면 곤란하다. 구조론의 입체는 정육면체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이다. 그림처럼 하나의 입체를 부러뜨려 두 각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밀도를 부러뜨려 두 입체를 얻는다.


2.GIF

 

    구조론의 입체는 모퉁이다. 모퉁이는 반대쪽이 있어야 한다. 즉 대칭되어 있어야 한다. 대칭을 부러뜨려 입체를 얻는다. 우주는 비대칭에 의해 창조되었다. 밀도, 입체, 각, 선, 점은 대칭에서 비대칭으로 넘어가는 스위치다.

 

3.JPG


    이 다섯 지점에서의 의사결정으로 하나의 존재는 성립한다. 각각 0, 1, 2, 3, 4차원을 이룬다. 그 이상은 없다. 왜냐하면 대칭이 부러졌기 때문이다. 점과 선의 관계는 대칭과 비대칭의 관계다.


    점 둘을 대칭시키면 바로 그것이 선이다. 두 점을 연결하여 선을 얻는다. 두 선을 연결하면 각, 두 각을 연결하면 입체, 두 입체를 연결하면 밀도를 얻는다. 반대로 대칭이 부러지면 구조가 복제된다.


    자석은 N극과 S극을 가진다. 자석을 부러뜨려도 역시 N극과 S극을 가진다. 구조가 복제되는 것이다. 이렇듯 우주는 복제에 의해 구축되었다. 이 하나로 모두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레벨:10]다원이

2013.11.05 (08:30:17)

그럭저럭 따라 왔습니다만 '두 입체를 연결하면 밀도를 얻는다' 여기가 어렵네요...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_^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05 (10:24:14)

그림의 도어록 손잡이를 보세요.

손잡이를 어떻게 잡든 힘은 손잡이의 중심축을 통과합니다.

즉 불균일이 일어난다는 거지요. 

두 입체를 연결하면 힘의 전달은 무조건 한 점을 통과하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071
2764 인간의 자유의지와 선택 1 김동렬 2013-12-31 8810
2763 영화 미스트의 부족민들 image 2 김동렬 2013-12-29 9700
2762 어린 신부 잔혹사(추가버전) 6 김동렬 2013-12-25 9748
2761 구조론의 대의 image 3 김동렬 2013-12-23 8370
2760 선이 굵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3-12-21 9372
2759 왜 깨달음인가? image 3 김동렬 2013-12-19 9267
2758 응답하라 세 가지 1 김동렬 2013-12-19 9027
2757 지성인의 자격 1 김동렬 2013-12-18 9947
2756 응답하라 대한민국 1 김동렬 2013-12-17 9182
2755 마지막 한 걸음 김동렬 2013-12-16 8545
2754 인생의 정답 김동렬 2013-12-15 10719
2753 구조론 독자 여러분께 image 3 김동렬 2013-12-13 9388
2752 의사결정의 방법 2 김동렬 2013-12-12 8957
2751 좌절감을 느낄 때 image 7 김동렬 2013-12-10 11838
2750 구조론의 관점 image 4 김동렬 2013-12-09 9331
2749 사건은 아래로 흐른다 1 김동렬 2013-12-06 9318
2748 인간은 무조건 나쁜 결정을 내린다 image 4 김동렬 2013-12-05 10356
2747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43
2746 깨달음의 문제 3 김동렬 2013-12-03 9144
2745 이 시대에 스승은 누구인가? 4 김동렬 2013-12-02 9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