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설국열차를 보고 왔습니다.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스포일러

213080400156_59_20130805085402.jpg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열차.


인류에다가 마이너스에 마이너스를 가해서 

기차 한 대에 다 태운 영화.

폐쇄된 공간.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자급자족의 시스템.


왜 설국열차가 레일 위를 계속 돌아야 하느냐고 딴죽거는 사람도 있는데

저도 보고 나와서 아차 했습니다.

왜 달리지?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되지 않은 듯.


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보고 왔는데

동렬님이 느꼈던 것을 제가 온전히 느낀 것인가는 확실치 않네요.

선생님은 송강호 캐릭터를 영화의 핵심으로 꼽으셨는데 

물론 송강호와 요나가 주도적으로 제 3의 결말을 향해 치달아과는 과정도 재미있고

열차 안에서 뒤섞이는 군중의 다양한 행태 및 바보 행각도 볼만합니다.


무엇보다 배우들이 다들 귀엽고 통통 튑니다.

물론 커티스 같은 캐릭터도 있지만.

그냥 일반 헐리우드 감독이라면 배우들을 이렇게 못 살렸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틸다 스윈튼(앞잡이 아줌마)이 봉준호를 세계 최고 감독이라고 극찬했다던데

틸다 스윈튼 틀니 보러 다시 가는 사람 많을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우스꽝스럽고 비극적이고 그렇습니다.

특히 징그럽게 생긴 진압군들이 터널을 통과하면서 해피 뉴이어 하는 장면.

흔히 무엇무엇의 축소판이라고 많이들 얘기하죠.

확실히 사람들이 전부 제정신이 아닌 것 같기는 합니다. 


영화 자체가 연극적입니다. 물론 상황 자체가 그렇지만.

보통 영화에서 개연성이나 리얼리즘의 제약에 의해 가려져 있던 

인간 본연의 모습. 인간 그 자체가 여과없이 노출되는 장면들.

극한적인 상황 극단적 스트레스 아래에서 문을 여는 

인간 박물관. 인간 농장. 인간 전시관. 인간 닭장.

기어이 뼈대를 드러내는 지구 기계 문명의 단순한 악순환.

사라들이 죽든 말든 멈추지 않고 달리는 영구 엔진.

아마 이런 걸 말씀하신 게 아닌가 합니다.

물론 결말은 이걸 다 부셔버리자는 얘기이고. 다시 태어나자는 건데.

열차가 박살나는 순간에 요나는 인류의 시조가 되고 

여태까지의 이야기는 신화가 되고, 구속사가 되고, 

송강호 커티스는 새 인류를 인도한 선지자가 되어 버리는 구조.


엔진 위에 앉아 열차를 택하는 백인 꼬마. 생존자는 유색인종 꼬마 두명.

아마 영화 자체가 너무 직설적이라서 취향이 아닌 사람도 있긴 있을 겁니다.

평론가들도 그런 점 때문인지 혹평이야 없지만 

대단한 칭찬 역시 해주지 않는 것 같고...

연출적으로는 뚝뚝 끊기는 느낌이 있는데 감독이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뭐 헐리우드 첩보영화가 아니니 크게 단점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봉준호 감독은 헐리우드로 가서 다시 신인으로 되돌아간 느낌입니다.

이건 좋은 말일 수도 있고 나쁜 말일 수도 있습니다.


평론가와 기자 감상문도 속속 나오고 있는데

다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신자유주의든 뭐든 간에 다 같은 얘기고

완전히 빗나간 얘기를 하고 있는 사람은 없지 않나 합니다.

어차피 시스템은 시스템이니.

다만 만든 사람이 스탈린주의나 신자유주의를 각별히 겨냥했을리는 없겠죠.


심하게 길어졌습니다.

전투장면이 잔인합니다.

물고기 입에서 탈출한(괴물) 요나(성경의 요나)가 지구를 새로 건설했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18년은 박정희 통치기간을 의미한다는 말이 떠돕니다.


[레벨:9]길옆

2013.08.05 (15:58:17)

구두 던지는 장면에서 부시가 떠올랐고

냉동시킨 팔을 부수는 장면에서 731생체부대를

떠올렸다는 사람들도 있던데...

 

송강호와 요나가 제 3의 결말을 주도한다고 하셨는데

사실은 열차가 하나가 아니라 하나 더 있었던 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낡은 열차를 고수할 것인가?

새 열차로 갈아탈 것인가?

 

나는 닫힌 문을 열고 싶다. 라는 포스터의 글귀가

결말을 암시하는 군요.

설국열차 관련 글을 몇 개 읽다보니

보기도 전에 영화를 이미 봐 버린 느낌입니다.^^

[레벨:6]sus4

2013.08.05 (16:33:56)

위사진의 저 카피는 보기 전엔 그런가부다 하는데

보고 나면 탁 하고 무릎을 치게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8.05 (15:58:32)

틀니녀가 박그네라는 말도.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8.05 (16:11:00)

재난 영화에서 전제를 생략해 버리고 바로 치고 들어가는 경우는 요즘들어 점점 추세가 그렇다고 여겨지네요.
전제를 나레이션으로 설명해주는 경우도 있는데 자칫 서사구조가 될 수 있어서, 요즘은 아예 다큐멘터리 구조로 대체해버리는듯도 하구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최호석최호석

2013.08.05 (16:28:13)

재미있겠네요. 쩝쩝...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3.08.05 (22:26:42)

영화의 결말에 관해서 이해하거나 규정할 필요가 없소. 창작자 입장에서는 그렇게 해야지 이야기를 마무리 할 수 있으니까. 원래 그런 거. 다만 <설국열차>는 민중의 봉기도 아니고, 액션영화도 아니고, 오롯이 인류를 대표하는 사람이 신을 찾아왔는데, 신이 이 녀석 뺨따구를 날렸고, 이에 격분한 인간 대표가 신의 뺨따구를 날린 사건. 


신한테 싸대기를 날렸다니 짜릿하지 않소? ㅋㅋㅋ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552 고구려 인면조 '만세' image 정나 2018-02-09 3364
4551 구조론 목요 모임 image ahmoo 2018-02-08 1486
4550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쓰는 이유 image 2 정나 2018-02-08 4852
4549 빌어먹을 상급심 쿨히스 2018-02-05 1624
4548 구조론 목요 모임 image 5 ahmoo 2018-02-01 1596
4547 아 유시민.... 12 블루 2018-01-31 3436
4546 구조론 목요 모임 image ahmoo 2018-01-25 1603
4545 베토벤은 스승이 없다 1 쿨히스 2018-01-23 2003
4544 손님을 맞이하려면 평화올림픽이 되어야... 1 스마일 2018-01-22 1504
4543 교육개혁과 밀접한 교장공모제에 대한 글입니다. 이상우 2018-01-21 1515
4542 유시민은 입을 다물든지 문재인대통령에게 물어보고 말하라 1 부루 2018-01-21 1864
4541 유시민이 구조론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는 이유와 유시민의 복잡한 포지션 부루 2018-01-20 1610
4540 유시민, 정재승, 박상기, 안경환 유감 부루 2018-01-20 1656
4539 [펌] 이번 하키 단일팀이 성사되어야 하는 이유 3 미루 2018-01-20 1580
4538 구조 삼국지(청주) 모임(2018.01.26.금) image 1 달타냥(ㅡ) 2018-01-19 1691
4537 개그는 이런 것이다. 아제 2018-01-18 1654
4536 교육은 타이밍, 시간차가 중요하다 3 이상우 2018-01-18 1622
4535 노래 현강 2018-01-18 1299
4534 구조론 목요 모임 image 1 ahmoo 2018-01-18 1322
4533 시사 리트윗 다시보기 2 쉘톤 2018-01-16 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