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 |/_담 |/_
read 3820 vote 0 2013.03.28 (12:10:42)

노동은 박멸된다. 그리되게 되어 있다. 누가 먼저하는가만 남아 있는 것이다. 먼저하는 "누가"나 "누가들"이 "기"다. "질"이다. 사람이다.

 

노동은 신성하거나 항상있어야 하거나 하는 것이 아니다. 인류가 인구과잉에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부산물이다. 제거하여야 할 과제다.

 

인구가 늘어 간다는 것은 이 진보가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성공하고 당황한다. 성공하고 두려워 한다. 성공하고도 이유를 모른다.

 

사람이 왜 노동을 해야 한단 말인가? 인류가 여타의 생명이나 무생물과 구분되는 지점은 "일하는 방식을 진보시키는 일"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사람의 일이다. 오늘의 문명을 이룩한 인류는 "일하는 방식을 진보시키는 일"에 응답하여 탄생한 생명 집단이다.

  

노동을 박멸함은 "정보> 우주> 생명> 인류"로 이어지는 축복의 조건이다. 삶은 축복이다. 거저 주는 것을 받으면 된다. 일하는 방식을 진보시키면 된다.

 

일하는 방싱의 성공적인 진보는 "인간의 노동"이 "사물의 운동"으로 교체되는 것이다.

 

노동은 인류에게 "영원히" 맡겨진 것이다. "제한적, 한시적"으로 필요하기에 감당해야 하는 "고통"일 뿐이다.

 

노동을 박멸케하라.

 

노동 박멸을 주문하라. 투자하라. 생산하라. 유통하라. 소비하라. 이것이 사람의 일이다. 일거리다. 일자리다.

 

노동은 박멸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78
1598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79
1597 아란도님의 질문에 대하여 5 김동렬 2009-03-17 4779
1596 평행우주? 단순한 속임수 김동렬 2013-06-02 4774
1595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73
1594 질 입자 힘 운동 량 찾아보기 image 7 김동렬 2013-10-21 4770
1593 소크라테스의 적들 image 1 김동렬 2014-04-07 4761
1592 한겨레 또 이론을 바꾸다 1 김동렬 2012-11-20 4759
1591 일상에 대한 단상 12 참삶 2009-05-15 4754
1590 바둑 구조론 김동렬 2016-03-08 4752
1589 존엄 OS 담 |/_ 2013-06-30 4747
1588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4747
1587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747
1586 게세르칸 - 거서간? 김동렬 2015-03-23 4742
1585 진화의 정점은 백인? 김동렬 2017-02-12 4741
1584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40
1583 중국무술은 없다. 5 김동렬 2015-03-21 4737
1582 스타일이 스펙을 이긴다. image 5 냥모 2013-03-11 4735
1581 생각의 정석 5회 1 오세 2013-07-25 4734
1580 "애니팡 하트시스템" 이거 재미있다. -담 관리자* 2012-10-21 4734
1579 문제 - 해명해 보시오. 15 김동렬 2013-03-12 4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