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관리자*
read 2925 vote 0 2012.10.21 (21:54:10)

학창시절 함께 농구하다보면 유독 룰에 신경쓰는 친구, 꼭 있다. 워킹이 어쩌고 저쩌고 금을 밟았네 안 밟았네, 공을 들고 세 걸음을 걸었네 안 걸었네...... 적당히 떠들면 농구 룰을 숙지할 수 있어 게임진행이 원활하지만 계속 미주알고주알 떠들면 게임이 재미 없어진다. 에이, 더러워서 나 안해 하고 공을 던지고 친구들이 가버린다.


근데 그 녀석은 게임이 파토난 것이 자신의 탓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한다. 친구들이 규칙을 지키지 않아서 게임이 파토난 것이라고 생각하고 계속 그렇게 규칙을 강조하며 게임의 흐름을 방해한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꼭 심판역할을 떠맡으면서 친구들을 피곤하게 하는 사람 꼭 있다. 


이쯤에서 생각나는 군상들이 있다. 바로 지식인이다.

지식인, 그들은 자신의 전문분야에서나 통하는 룰을 가지고 심판노릇을 하려든다. 


물론 룰은 중요하다. 룰이 있어야 게임을 시작하고 진행하고 마무리할 수 있다. 

룰이 있어야 승패를 구분하고 반칙여부를 판단하여 게임에 긴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따라서 누군가가 룰을 지키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심판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반드시 필요한 포지션이다. 


그러나 심판은 게임의 주인이 아니다. 

그런데 그렇게 착각하는 사람, 꼭 있다. 

룰을 엄수하는 것을 지상과제로 삼는 사람이 있다. 특히 지식인들이 그러하다. 


그들은 때로는 어떤 친구가 공을 들고 세 발짝 걸어도 혹은 네 발짝을 걸어도 게임 안에서 용인된다는 것을 참지 못한다.

 왜? 자신들이 믿고 있는 규칙에 어긋나니까. 


그들은 반칙을 하면서도 친구들끼리 낄낄거리며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참지 못한다.

왜? 그것이 반칙이라고 그들이 믿는 룰북에 써져있으니까.


그들은 무엇보다도 게임의 규칙이 고정되지 않고 자꾸 변화하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왜? 자신들이 지닌 지식이라는 이름의 룰북이 소용없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임시로나마 주어진 심판의 권한이 사라진다는 것에, 자신의 포지션이 사라진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들은 심지어 공이 없어도, 코트가 없어도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모른다. 

그들의 눈에는 공을 매개로 규칙을 매개로 형성되는 우정이라는 이름의 상호관계가 보이지 않는다.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 자체가 게임이며 중요한 것은 그 상호작용을 긴밀하게 하는 것이고, 규칙은 바로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임을 모른다. 


진짜 게임은 규칙이 아니다.

혹여라도 그 규칙을 어길까봐 두 눈 부릅뜨고 친구들을 노려보는 심판은 게임의 주인이 아니다. 진짜 게임이라면 그 자리에서 룰을 만들고 그 자리에서 룰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서로 대화하고 때로는 다투고 때로는 화해하는 과정 자체가 진짜 게임이다. 


2012년 대선.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이 신나는 게임에 벌써부터 심판 역할 한다고 애쓰는 자들이 눈에 보인다. 


그렇게 파울하지 마! 규칙을 지켜! 페어플레이 하란말야~ 목청높여 소리지르는 가운데 대한민국 선수들은 새로운 룰을 만들어가고 있다. 정녕, 심판을 하고 싶다면 그 룰이 무엇인지 발견해야 한다. 우리가 지금 만들고 있는 새로운 룰을 두 눈 부릅뜨고 보아야 한다. 


그 룰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이거라도 읽으셈

http://gujoron.com/xe/29604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66
1730 시험문제 3 - 성철과 숭산 15 김동렬 2012-11-13 5203
172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201
1728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00
1727 구조론 팟캐스트 1회 대본 11 오세 2013-06-20 5196
1726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188
1725 토기장이의 비유 3 김동렬 2015-04-30 5188
1724 소수 찾는 방법 8 김동렬 2015-09-26 5184
1723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180
1722 인민사원, 그리고 인간의 비합리성 image 7 김동렬 2014-11-30 5175
1721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73
1720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69
1719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65
1718 인간의 짝. 1 아제 2010-05-27 5160
1717 제프 베조스의 빅 아이디어 image 4 김동렬 2018-07-25 5158
1716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55
1715 한국은 세계 5대강국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4-15 5152
1714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48
1713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42
1712 김혜연의 트로트 '뱀이다' 이대로 괜찮은가? 3 수피아 2021-06-15 5141
1711 관점의 근육 9 냥모 2014-09-09 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