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4452 vote 0 2003.10.26 (17:58:10)

저는 ‘깨달음’의 문제야 말로 서구정신과의 대결에서 동양정신의 승리를 최종적으로 담보할 인문학의 핵심적인 대안이라고 봅니다. 즉 인문학의 문제는 곧 깨달음의 문제로 등치시켜 본다는 말입니다.

인문학 = 깨달음

이렇게 봅니다.

여기서의 깨달음은 유교와 불교, 도교를 막론하고 공통된 동양정신의 코드입니다. 화담 서경덕이나 혜강 최한기는 유학자이지만 깨달음=인문학으로 등치시켜 본 학자들입니다. 넓게 보면 율곡이나 퇴계도 마찬가지에요. 왜냐하면 주자학의 핵심적인 코드가 어느 면에서 ‘깨달음’이거든요.

주자학도 넓게 보면 깨달음의 학문이라 이거지요. 양명학도 마찬가지인데 차이점은 양명학이 상대적으로 더 불교화된, 소승화된 깨달음을 말하고 있다면, 주자학은 상대적으로 더 대승에 가까운, 더 이론적으로 추상화된 깨달음을 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깨달음을 불교적 관점으로만 한정시켜 본다면 피곤해집니다. 더욱 무당들이 신내림을 받아서 만신이 되는 것과 같은 생리적이고, 신체적인 문제로 본다면 이는 상도(常度)에서 크게 벗어난 것입니다.

U.G가 말하는 그 '일'이란 무당이 내림굿을 받는 일에 비유될 물리적이고, 육체적인 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봅니다. 이런건 용납이 안되지요.

기독교 목사들은 상당수가 가짜입니다. 신도들은 믿는데 본인은 안믿는다는 거죠. 믿는 척 하는 것은 자기직분에 충실한 거구요. 그래도 큰 문제가 안되는 것은 교단이 자정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도들은 목사를 믿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의미에서의 교단을 믿는 거구요.

인도에서 구루들의 활동도 종교의 교단과 같아서 내부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만큼 자정능력이 있다고 봅니다. 즉 인도에서의 U.G는 허용될 수 있다는 이야기지요. 그러나 특정종교 이야기를 이 게시판에서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면 선을 그어야겠지요.

U.G가 말하는 깨달음은 ‘내림굿=무당’ 수준으로 봅니다. 이는 논외가 됩니다. 인문학의 영역을 벗어난 깨달음은 언급할 가치가 없습니다.

여기서 넘어서 안되는 선의 황금률을 지켜가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가 봅니다. 이쪽 동네 사람들 몇몇을 직간접으로 관찰한 바에 의하면 대개가 ‘내림굿=무당’ 수준의 깨달음을 말하고 있었지 인문학의 관점에서 진지하게 보는 사람은 없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51 공안을 풀어보자 2003-03-27 4217
250 오행론과 구조론 2003-12-04 4220
249 집합적 구조의 이해 2003-06-10 4221
248 원자론과 구조론 2003-12-02 4234
247 장선우를 죽이고 싶다. - '성소논쟁을 마치며' 2002-09-26 4235
246 자유는 가짜다 2002-09-10 4276
245 달마도 4.5 image 2002-09-10 4279
244 믿음에 대한 세가지 이야기 2003-02-23 4307
243 숙명과 운명 그리고 자유의지 2002-09-10 4310
242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성공작이다. image 2002-09-15 4324
241 대박의 법칙 수정판 2002-09-10 4333
240 다 쓰고 죽자 2002-09-10 4373
239 하나의 관문이 있다. 2004-02-10 4374
238 구조와 시스템 image 2003-08-16 4379
237 생활의 발견을 발견하라 2002-09-10 4380
236 매트릭스 레볼루션을 봤습니다 2003-11-15 4393
235 손정의의 대도무문 2002-09-10 4394
234 깨달음의 문제는 2003-11-25 4432
233 소통은 타인의 동의를 구하기다 2003-06-26 4442
» 깨달음에 대한 이해와 오해 2003-10-26 4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