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96
295 ahmoo님의 사회주택 강연자료 수원나그네 2018-06-03 1615
294 사회대개혁지식네트워크 교수연구자 선언 1 수원나그네 2020-12-28 1611
293 완전성은 무엇인가. 2 systema 2017-11-04 1611
292 [집결장소 수정] 이번 기회에 친일매국 찌라시를 처단할까요?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7-02 1609
291 땅값집값 23 - 보유세를 강화해도 문제가 없는 이치 image 2 수원나그네 2018-09-09 1609
290 땅값 집값 문제 15 - 특권 없는 세상 image 수원나그네 2018-01-26 1609
289 에너지 조직이 의리다. systema 2018-01-07 1604
288 약자가 지는 이유 챠우 2019-08-12 1603
287 아직도 살아있는 이명박 법률 수원나그네 2018-03-11 1601
28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2-28 1600
285 인문학의 빈곤 dksnow 2022-06-17 1599
284 이원론은 인식론의 폐해이다. 2 현강 2020-09-01 1599
283 축구하다 다투는 아이들 - 심은 축구하고 싶은 마음 이상우 2018-11-06 1599
282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정책토론회 image 3 수원나그네 2018-11-21 1597
281 관점. 1 아제 2017-11-11 1597
280 생명로드 36 - 또다른 UN이 필요하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2-17 1596
279 '기술'권력시대의 도래 1 수원나그네 2018-05-28 1596
278 '출산정책의 실패' 에 덧붙여 8 dksnow 2022-06-10 1593
277 진화의 본질과 위장술 image 이금재. 2020-11-21 1591
276 F=ma 현강 2020-09-05 1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