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03
452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77
451 인민사원, 그리고 인간의 비합리성 image 7 김동렬 2014-11-30 5178
450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79
449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80
448 소수 찾는 방법 8 김동렬 2015-09-26 5185
447 토기장이의 비유 3 김동렬 2015-04-30 5193
446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195
445 구조론 팟캐스트 1회 대본 11 오세 2013-06-20 5201
444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201
443 시험문제 3 - 성철과 숭산 15 김동렬 2012-11-13 5208
442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15
441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215
440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18
439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21
438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29
437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29
436 뭔가 예언한 윤태호의 이끼 결말 image 김동렬 2016-11-20 5231
435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238
434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51
433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51